확진보다 무서운 낙인? 유행시기별 코로나19 보도 헤드라인에 나타난 낙인 양상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오준혁 | - |
dc.contributor.author | 이보윤 | - |
dc.contributor.author | 최미연 | - |
dc.contributor.author | 최윤형 | - |
dc.date.accessioned | 2023-07-05T05:32:31Z | - |
dc.date.available | 2023-07-05T05:32:31Z | - |
dc.date.issued | 2023-01 | - |
dc.identifier.issn | 1738-2475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2924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국의 사회동향 조사(2020)에 따르면, 대다수 국민은 코로나19 확진보다 코로나 낙인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염병 낙인 문제에 초점을 두고 코로나19 발생 첫 1년(2019년 12월 31일~2021년 1월 31일)의 기간 동안 주요 일간지 헤드라인에 나타난 코로나19 보도를 내용 분석하였다. 해당 시기 주요 사건, 방역 정책, 정부 메시지, 감염자 및 사망자 수 등 맥락을 포함한 5개의 유행시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체 분석 헤드라인 중 66.5%에서 낙인 표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낙인 표현은 전 유행시기에 걸쳐 꾸준히 60%이상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가장 빈번히 사용된 낙인 요소는 공포감유발(53.6%), 라벨링(28.9%), 책임귀인(16.2%), 표시(1.3%) 순으로 나타났으며 낙인 표현의 주된 대상 및 내용은 유행시기별 주요 사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적인 방역 정책의 변화, 정부 메시지 등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특정 집단에게 코로나19 관련 낙인 표현이 집중된 패턴이(예: 신천지, 이태원 관련, 교회) 확인되기도 했다. 본 연구는 감염병 보도에서 반복되는 낙인요소를 비교적 긴 스펙트럼으로 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했다는 점, 그리고 법적·자율적 규제의 필요성을 환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According to the Korean Social trends(2020), it was seen that majority of people feared the stigma of getting infected with COVID-19 more than the fear of being infected. This study analyzes the headlines of news reports of major daily newspapers during the first year of outbreak. Results showed that 66.5% of the healines analyzed in this study used expressions associated with stigma, and this pattern appeared around 60% through the entire epidemic period. Most frequently used stigma factors were Peril(53.6%), Labeling(28.9%), Responsibility(16.2%), and Mark(1.3%). In particular, the patterns of stigmatization related to COVID-19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groups(e.g., Shincheonji, Itaewon, churche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s such as changes in the overall quarantine policy and government’s messag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 |
dc.format.extent | 41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광고홍보학회 | - |
dc.title | 확진보다 무서운 낙인? 유행시기별 코로나19 보도 헤드라인에 나타난 낙인 양상 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Stigma Scarier than Infection? Analysis of Stigma Patterns in COVID-19 Headlines by Epidemic Period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6914/kjapr.2023.25.1.45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한국광고홍보학보, v.25, no.1, pp 45 - 85 | - |
dc.citation.title | 한국광고홍보학보 | - |
dc.citation.volume | 25 | - |
dc.citation.number | 1 | - |
dc.citation.startPage | 45 | - |
dc.citation.endPage | 85 | - |
dc.identifier.kciid | ART002929837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낙인 | - |
dc.subject.keywordAuthor | 코로나19 | - |
dc.subject.keywordAuthor | 낙인 커뮤니케이션 모델 | - |
dc.subject.keywordAuthor | 감염병 보도 | - |
dc.subject.keywordAuthor | 언론 | - |
dc.subject.keywordAuthor | 방역 정책 | - |
dc.subject.keywordAuthor | Stigma | - |
dc.subject.keywordAuthor | COVID-19 | - |
dc.subject.keywordAuthor | Model of Stigma Communica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Infectious disease report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Media | - |
dc.subject.keywordAuthor | Quarantine policy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209382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