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호퍼 작품의 시각적 차용 모듈에 관한 연구A Study on Visual Appropriation Module onEdward Hopper‘s work
- Other Titles
- A Study on Visual Appropriation Module onEdward Hopper‘s work
- Authors
- 신경철; 최지원
- Issue Date
- Oct-2020
- Publisher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Keywords
- 차용; 시각적 차용; 상호매체성; 에드워드 호퍼; Appropriation; Visual Appropriation; Intermediality; Edward Hopper
- Citati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73, pp 69 - 7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Volume
- 73
- Start Page
- 69
- End Page
- 7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4008
- DOI
- 10.25111/jcd.2020.73.05
- ISSN
- 1976-1562
- Abstract
- 현대의 많은 예술가들은 기존의 예술 작품들을 차용하고 변형하여 새로운 개념의 작품들을 재생산한다. 오늘날 창조(creation)의 개념은 이제 원천적(primary)인 소재를 통해 만들어지는 결과물이 아니라 작품을 선택하고 그것을 재해석하는 행위의 과정까지 포함한다. 니콜라 부리요는 이와 같은 현대 예술의 패러다임을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정의한다. 포스트 프로덕션의 현대예술은 전통적인 표현의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이미지들의 조합과 변형을 통해 표현방식의 범위를 확장시키며 매체의 융합에서 오는 예술의 잠재적 가치를 재조명한다. 이처럼 예술 작품의 이미지 차용은 예술과 광고 두 매체 간의 상호 관계, 즉 ‘상호매체성’을 구축하는 구심점이 된다. 매체 간의 융합을 통한 효과적인 상호매체성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차용에 활용될 시각적 요소들을 정의하고, 그것에 해당하는 전략적인 시각적 차용 모듈의 설정이 필요시 된다. 이를 통해 이미지 차용은 매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알맞게 적용되어 문화적 흐름에 맞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기존의 예술적 가치를 훼손하는 무분별한 사용을 피하고 소비자들에게 예술의 미적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을 중심으로 ‘색’, ‘구도’, ‘인물’ 이라는 세 가지의 시각적 차용 모듈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호퍼의 예술 작품들과 이를 차용한 매체 사이의 상호매체성을 형성하는 이미지 차용의 요소들에 대해 디자인적 관점에서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예술 작품의 차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현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에드워드 호퍼의 이미지 차용 사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는 이미지 차용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이미지 차용을 위한 전략적 사고와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의미가 있다.
Many contemporary artists appropriate and transform existing works of art to reproduce new concepts. Today, the concept of creation now includes the process of selecting a work and reinterpreting it, rather than the result created through the primary subject. Nicola Buriyo defines this paradigm of contemporary art as 'post production'. Post-production contemporary art escapes from the traditional frame of expression and expands the range of expression methods through combinations and transformations of various images. In addition, it re-examines the potential value of art derived from integration of media. In this context, the appropriation of images from works of art becomes the central point of establish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dia, that is, “Intermediality”.
In order to build effective Intermediality with integration of media, it is necessary to define visual properties to be used for image appropriation, and to set up a strategic visual appropriation module corresponding to them. Through this, image appropriation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medium to create new value that fits the cultural flow. Furthermore, it can help avoid indiscriminate use of appropriation that damages the existing artistic value and can also work as a medium that informs consumers of the aesthetic value of art. This study not only defines visual appropriation modules that includes three elements; 'Color', 'Composition', and 'Figure', reflected on Edward Hopper's work, and but also the Intermediality between Hopper's works of art and the media that appropriate them. This study analyzes and understands specific properties of image appropriation that form a detailed analysis from a design perspective.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paradigm shift in the present era in which art works are frequently appropriated. Moreover, by focusing on different cases of Edward Hopper's image appropriation and on understanding the role and values of image appropriation used in various media, it is meaningful in seeking strategic thoughts and finding directions for effective methodology of image appropriation.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