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약 및 바이오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유기용제의 유기탄소원 활용성 평가Evaluation of organic carbon sources from waste organic solvents generated in pharmaceutical and bio-processing

Other Titles
Evaluation of organic carbon sources from waste organic solvents generated in pharmaceutical and bio-processing
Authors
박철김민경최봉호모경김문일한덕규서진수
Issue Date
May-2021
Publisher
한국페기물자원순환학회
Keywords
제약·바이오공정; 유기탄소원; 탈질소화; 폐유기용제; 재자원화
Citation
2021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 631 - 631
Pages
1
Indexed
OTHER
Journal Title
2021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Start Page
631
End Page
63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4612
Abstract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유기용제는 연간 약 115만톤으로 추정되며, 이 중 식품, 제약, 바이오 산업 등에서 약 4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제약 및 바이오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유기용제는 원료가공 및 정제과정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된 폐 유기용제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형태로 배출되어 폐 유기용제의 처리 및 재자원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약회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성분이 함유된 폐 유기용제를 증발농축 방법으로 정제하여 제약·바이오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유기용제에 대한 생물학적 탈질공정에 유기탄소원으로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물질은 증발농축 공정을 통해 재자원화된 고비점물질을 평가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탈질반응 내 유기탄소원 활용성 평가에서는 고비점물질로 정제되어 성상이 다른 2개 물질과 메탄올을 유기탄소원으로 하여 동일한 운전조건에서 Batch Test를 진행하였다. 고비점물질을 유기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비탈질속도(g Nremoval/g MLSS/hr)는 각각 1.55, 1.50 이였으며 총 제거시간은 25.5, 25.5로 분석되었다. 메탄올을 유기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비탈질속도(g Nremoval/g MLSS/hr)는 1.68 총제거시간은 27.6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비점물질과 일반적으로 탈질반응에 유기탄소원으로 사용되는 메탄올을 비교하였을 때 비탈질속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아질산과 질산이 탈질소화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고비점물질을 유기탄소원으로 사용한 것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oon il photo

Kim, Moon il
ERICA 공학대학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