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영역 프레임을 활용한 토지측량 정확도 향상 연구A Study on Land Survey Accuracy Improvement Using Reference Area Frame
- Other Titles
- A Study on Land Survey Accuracy Improvement Using Reference Area Frame
- Authors
- 이용협; 김원대; 윤종영
- Issue Date
- Aug-2023
- Publisher
- 한국측량학회
- Keywords
- Land Survey; Reference Area Frame; MMS. Accuracy; Precision Road Map; 토지측량; 기준영역 프레임; MMS; 정확도; 정밀도로지도
- Citation
- 한국측량학회지, v.41, no.4, pp 257 - 263
- Pages
- 7
- Indexed
- SCOPUS
KCI
- Journal Title
- 한국측량학회지
- Volume
- 41
- Number
- 4
- Start Page
- 257
- End Page
- 26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5339
- DOI
- 10.7848/ksgpc.2023.4.257
- ISSN
- 1598-4850
- Abstract
- 토지의 재산가치가 중요한 우리나라에서는 토지측량은 매우 정확하게 수행되고 현지에 재현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의 경계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토지측량 방법으로 MMS에 의한 기준영역 프레임 기법을 적용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작업 수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하여 사용된 MMS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여의도와 대구 테크노폴리스 일부 지역에 기준영역 프레임을 제작하였으며,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MMS 자료를 이용하여 정밀한 도로 기반 기준영역 프레임의 제작이 가능하였으며, 대구 테크노폴리스의 수치지적 지역에서는 RMSE X 0.136m, Y 0.091m의 오차, 여의도의 도해지적 지역에서는 RMSE X 0.412m, Y 0.370m 전후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향후 이 프레임을 이용하여 정밀한 토지측량을 위한 경계점 선점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In Korea, where the property value of land is important, the boundaries of land must be managed and reproduced very precisely.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metho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and boundary, a method for performing the work accurately and efficiently by applying the reference area frame technique by MMS (Mobile Mapping System) is proposed. The MMS data us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for the production of precision road maps were used in the study, and reference area frames were produced in some areas of Yeouido, Seoul and Technopolis, Daegu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curacy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Using the MMS data, it was possible to produce a precise road-based reference area frame, and the results were around RMSE X 0.136m, Y 0.091m in the digital cadastral area(Technopolis, Daegu) and RMSE X 0.412m, Y 0.370m in the iconography area(Yeouido, Seoul).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studies such as preoccupation of boundary points for precise detailed survey using this frame are necessary.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PUTING >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