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AHP분석기법을 통한 무인점포 소비자 공간 만족도 평가체계 연구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Consumer Space Satisfaction in Unmanned Stores through AHP Analysis Techniqu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Consumer Space Satisfaction in Unmanned Stores through AHP Analysis Technique
Authors
주운사김경숙
Issue Date
Dec-2023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Keywords
AHP; 소비자공산; 무인점포; 만족도; 평가체계; AHP; Consumer Space; Unmanned Shop; Satisfaction; Evaluation System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8, pp 311 - 324
Pages
14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18
Number
8
Start Page
311
End Page
32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8426
DOI
10.35216/kisd.2023.18.8.311
ISSN
1976-4405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신유통이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게 되면서 유통업체들은 잇달아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시작했으며 코로나 이후 많은 중소기업이 신유통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전통 오프라인 매장은 점차 신유통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무인점포는 최근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유통방식으로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무인점포는 인건비 절감, 판매시간 확대, 스마트 배송 등 효율적인 경영방식과 비대면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어 전문가들은 향후 5년에서 10년 사이에 무인매장이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무인 매장은 비록 현재 시작단계에 불과하지만 후발업체들의 기술 개선을 통한 투자를 통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무인점포 공간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무인점포 공간을 디자인하고 무인 공간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시점에서 AHP(Analystic HirachyProcess) 계층분석 방법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 평가체계에서의 각 디자인지표에 대한 만족도 값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무인점포 공간디자인의 후속 연구에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무인점포 공간디자인 발전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RISS/KCI/CNKI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문헌분석방법을 통해 무인점포의 개념 및 소비공간에 대한 구성요소를 도출한다. 둘째, 무인점포에 대한 소비자만족도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10명의 전문가를 통해 FGI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 지표체계를 구축한다. 셋째, 구축한 지표체계를 통해 AHP(Analystic Hirachy Process)를 활용하여 평가지표의 3가지 기준 계층과 방안 계층의 가중치를 산정한다. spss pro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일관성 통과여부를 검증한다. 구축한 평가체계 및 모델의 실용성과 합리성을 검증하여 최종 연구결과를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평가체계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향후 무인점포 공간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 향상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미래 무인점포 공간디자인에서의 중요도는 경험가치˃경제적 가치˃브랜드가치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 지표의 전체 종합 가중치는 문화˃서비스˃소비˃외관˃ 조명˃전파력˃연상도˃충성도˃인지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항목의 중요도를 고려하며 정량적 평가 방법을 통해 무인점포 공간디자인에서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판단을 보완하여 더욱 체계적인 무인점포 공간디자인을 구현해야할 것이다. (결론) 미래의 무인점포 공간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와 그들의 가중치를 명확히 보여준다. 체험 가치, 경제적 가치, 브랜드 가치가 중요한 요소로 나타난 것은 무인점포가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서 사용자 경험과 브랜드 가치 창출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디자인 지표 중에서 문화와 서비스가 가장 높은 가중치를 차지하는 것은 무인점포 디자인이 지역 문화와 연결되고,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강조된다.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향상시키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디자인 접근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Research background) The proposal for the new retail concept states that traditional physical stores will gradually shift toward new retail. With the introduction of this concept, traditional retail stores have begun new layout one after another. After the pandemic, man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egan to understand the role of new retail. The new layout of traditional retail has accelerated significantly. The expansion of unmanned stores reduces labor costs, expand sales time, and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intelligent delivery, while reflecting the trend of non-face-to-face consumers. Although unmanned store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many latecomers are catching up with this improved technology. Experts believe that in five to ten years, such unmanned stores will become common. This study starts with consumers’ perspectives and calculates the hierarchical design indicators of the constructed consumer satisfaction evaluation system model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Given that unmanned stores have emerged only in recent years, previous research data are incomplet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on unmanned store space design and look forward t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direction of store space design. (Method) 1. Using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of the RISS/KCI/CNKI database, we searched for the concept of unmanned store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consumption space. Based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consumer satisfaction in unmanned stores, combined with the opinions of ten experts (FGI), a final indicator system was established. 3. Through the established indicator system, AHP was used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three standard levels and planning level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SPSS PRO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conformance testing has been passed. Next, we aimed to verify the practicality and rationa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model construction, draw research conclusions, formalize the research evaluation system, and provide design suggestions for improving consumer satisfaction in unmanned shopping spaces. (Results) The future spatial design structure of unmanned stores can be designed as follows. Using quantitative methods to compensate for the subjective design shortcomings of designers in unmanned store space design makes the design of unmanned supermarkets more scientific. (Conclusion) This study clearly shows the important factors and their weights in future unmanned store space design. The fact that experience value, economic value, and brand value are important factors suggests that unmanned stores should focus on creating user experience and brand value beyond simple convenience. Among the design indicators, culture and services occupy the highest weight, emphasizing that an unmanned store design should be connected to the local culture and provide excellent services. This indicates that a strategic design approach is required to improv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 and increase brand awarenes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Ghim, Ghyung Sook photo

Ghim, Ghyung Sook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