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애니메이션의 몰입도 향상을 위한 인터랙티브 방식 연구 -〈캠프 불(Bonfire)〉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Interactive Method to Improve the Immersion of VR Animation-Focused on <Bonfire>-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Interactive Method to Improve the Immersion of VR Animation-Focused on <Bonfire>-
- Authors
- 장우목; 노승관
- Issue Date
- Dec-2023
- 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Keywords
- VR Animation(VR 애니메이션); Immersion(몰입); Interactive(인터랙티브); Bonfire(캠프 불)
- 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9, no.4, pp 417 - 428
- Pages
- 1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Volume
- 29
- Number
- 4
- Start Page
- 417
- End Page
- 42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8436
- DOI
- 10.18208/ksdc.2023.29.4.417
- ISSN
- 1598-6497
- Abstract
- 기술의 발달로 VR 기술과 그에 따른 부가 산업이많은 학자와 기업의 관심을 받고 있다. VR 애니메이션에서의 몰입감, 인터랙티브라는 키워드는 VR 기술의 본질로 인해 생겨난 특징이며, 다른 예술 장르와의가장 큰 차이점이자 강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VR 애니메이션 ˂캠프 불˃을 중심으로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VR 애니메이션의 인터랙티브 방식을 연구했다. 관객들은 ˂캠프 불˃에 참여함으로써 VR 세계와 상호작용하고 개인의 행동을 통해 스토리의 발전을 돕는다. 연구 목적은 분석을 통해 VR 애니메이션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방식을 도출하는 것이며, 연구 범위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우수한 VR 애니메이션 및 ˂캠프 불˃의 인터랙티브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음 설문조사 결과와 SmartPLS 소프트웨어 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4가지 인터랙티브 방식이 참여자 몰입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본 연구는 VR 애니메이션의 상호 작용 디자인 및 제작에 대한 의미 있는 참고 가치를 제시하며, 특히 인터랙티브 방식이 VR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의 몰입도 향상에 있어서 중추적인역할을 수행함을 발견했다. VR 애니메이션의 품질과매력을 제고시키고 가상현실 분야의 발전을 더욱 촉진할 것을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VR technology and its products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and enterprises. Immersion and interaction are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VR animation, and also the biggest difference and advantage with other art types. This paper focuses on the VR animation <Bonfire> and studies the interactive mode of VR anim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udience’s immersion. When the audience experiences <Bonfire>, they interact with the virtual world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through their own action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ummarize the interactive ways that can improve the immersion of VR animation through analysis.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Bonfire> and excellent VR animations from 2016 to 2022. Then,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data analysis of SmartPLS software, it is verified that the four interaction ways can have a promoting impact on the immersion degree.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reference for the interactive design and production of VR animation, and emphasizes the key role of interactive methods in improving immersion. It helps to improve the quality and attractiveness of VR animation, and further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virtual reality field.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