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주의 역사를 통해 본 해방 후 서울 사람의 지역정체성Migration and the Quest for Seoulites’ Local Identity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o the Present day

Other Titles
Migration and the Quest for Seoulites’ Local Identity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o the Present day
Authors
송도영
Issue Date
May-2024
Publisher
서울학연구소
Keywords
서울; 지역 정체성; 이주; 메가시티, 글로벌화; 다중적 정체성; Seoul, migration; local identity; mega-city; globalization; multiple identity
Citation
서울학연구, no.95, pp 83 - 120
Pages
38
Indexed
KCI
Journal Title
서울학연구
Number
95
Start Page
83
End Page
12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19895
DOI
10.17647/jss.2024.05.95.83
ISSN
1225-746x
Abstract
이 논문은 해방 후 2024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진행된 서울의 도시 성장 과정 속에서 급팽창한 서울의 인구현상을 고찰하면서 ‘서울 사람으로서의 지역정체성’ 이 어떻게 만들어져 왔을 것인지를 질문한다. 특히 서울 문화의 역사성과 고유성 을 찾고자 했던 ‘서울 토박이’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해방 후 현재까지 거대도시화 과정을 겪어온 서울의 주민 지역정체성을 다루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직시한다. ‘정주성’(定住性)을 중심으로 한 지역정체성 개념을 극복하고 이주와 정착의 현상들을 구체적으로 재조명하기 위해 이 연구 가 채택하는 주요 자료는 인구이동 통계다. 인구이동 통계자료들을 재배치하고 분석하는 것에 더하여 정성적(定性的)인 측면들을 함께 검토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존에 발표된 구술생애사 자료들, 문학작품, 잡지 기사 및 대중 미디어 콘텐츠 등을 사용한다. 거기에 드러나거나 재현되는 서울 주민들의 정체성 의식과 형태 들을 통계자료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통계수치의 내용을 구성하는 정보들을 보다 입체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를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해방 이후 현재까지 역동 적으로 전개되어온 이주의 규모와 빈번함은 서울 및 수도권 주민들이 특정 도시 지역에 갖는 애착과 정체성을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 다. 여기서 서울 주민들은 현재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한 통일된 지역정체성 보다는 각자 다른 이주와 정착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정체성을 가질 수 있 다. 이와 함께 인구의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1990년대 이후 서 울과 수도권 사람들의 인구이동은 새로운 방향을 보여주며, 그중에서도 각 생활권과 지역의 계층적 분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이 포착된다. 그리고 서울의 글로 벌 도시화 속에서 서울의 구성 인구 또한 국제화, 글로벌화가 전개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서울의 다종족성 및 초국적 정체성이 늘어날 가능성이 증가함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이 논문은 서울 사람과 관계된 기존의 ‘정주성’ 중심의 지역정체성 개념을 극복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구조 속 의 현실을 직시하며 이에 근거한 정책적 판단과 미래 준비를 해야 함을 지적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Seoulites’ local identity from the Liberation of Ko- rea in 1945 to the present day (2024). The study begins by critiqu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iscourse on ‘Seoul natives (seo-ul-tobagi)’ which has been adopted for several stud- ies of the historicity and uniqueness of Seoul’s culture.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concept, whi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a ‘stable population settlement,’ this study analyzes various demographic and statistical data that clearly illustrate the dynamic migration patterns of Seoul’s residents. Additionally, it incorporates literary works, oral his- tories, journal articles, and mass media content to address the qualitative deficiencies of the statistical data. The analysis yields several key findings: First, the local identity of contemporary Seoulites appears relatively vague, following a highly dynamic process of mass migration. Second, even within the same neighborhoods, many of today’s Seoulites exhibit diverse forms of local identities. Third, this study identifies new trends in population movement since the 1990s, particularly a strong inward migration within Seoul’s mega-city area, and notable stratifica- tion among its districts and neighborhoods. Lastly, since the early 2000s,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ism have emerged as significant trends, highlighted by the influx of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this period. The conclus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urban studies and policy-making in Seoul to integrate these insights, proposing that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se dimensions is crucial for constructing a substantive and actionable knowledge base concerning the local identities, mindset, and behaviors of Seoul’s resident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Do young photo

Song, Do young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