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의 예방행동의도와 위험지각, 심각성 인식이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 및 이용동기 매개효과 검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진혁 | - |
dc.contributor.author | 박성복 | - |
dc.date.accessioned | 2024-10-30T01:30:17Z | - |
dc.date.available | 2024-10-30T01:30:17Z | - |
dc.date.issued | 2024-09 | - |
dc.identifier.issn | 1598-2009 | - |
dc.identifier.issn | 2287-738X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0706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의 예방행동의도와 위험지각, 심각성 인식, 소셜미디어(이용동기, 이용강도), 사회적 유대감에 간의 영향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거리두기의 행동의도, 위험지각은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도, 심각성 인식 변수는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지각와 이용 동기 변수는 사회적 유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의도, 심각성 인식만이 사회적 유대감으로 가는 경로의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을 수록 사회적 유대감도 높아진다는 점은 위기 상황에서의 공동체 의식 강화 전략과 효과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of COVID-19 social distancing, risk perception, severity perception, social media use (motivation, intensity), and social bonding,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behavioral intention for social distancing and risk percep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sity of social media use. Although behavioral intention and severity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risk perception and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bonding. Behavioral intention and severity perception had indirect effects on the path to social bonding. The higher severity perception of COVID-19, the higher the social bonding,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strategies to strength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in crisis situations. | - |
dc.format.extent | 15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 - |
dc.title | 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의 예방행동의도와 위험지각, 심각성 인식이 사회적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소셜미디어 이용강도 및 이용동기 매개효과 검증 | - |
dc.title.alternative | Effects of COVID-19 Social Distancing Behavior on Social Bonding: Mediating Effect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9728/dcs.2024.25.9.2491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25, no.9, pp 2491 - 2505 | - |
dc.citation.title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 |
dc.citation.volume | 25 | - |
dc.citation.number | 9 | - |
dc.citation.startPage | 2491 | - |
dc.citation.endPage | 2505 | - |
dc.type.docType | 정기학술지(Article(Perspective Article포함)) | - |
dc.identifier.kciid | ART003122531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Social Distanc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Behavioral Inten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Risk Percep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Severity Percep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Social Bonding | - |
dc.subject.keywordAuthor | 사회적거리두기 | - |
dc.subject.keywordAuthor | 행동의도 | - |
dc.subject.keywordAuthor | 위험지각 | - |
dc.subject.keywordAuthor | 심각성인식 | - |
dc.subject.keywordAuthor | 사회적 유대감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33506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