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 융합형 역량 강화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효과 분석 -디지털새싹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AI Education Content for Enhancing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Case of Digital NewSAC-
- Other Titles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AI Education Content for Enhancing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Case of Digital NewSAC-
- Authors
- 이상미; 송지성
- Issue Date
- Sep-2024
- 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Keywords
- 인공지능 교육; 디자인 씽킹; 신기술 융합; 창의 융합형 역량;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Design Thinking; New Technology Convergenc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 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30, no.3, pp 339 - 346
- Pages
- 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Volume
- 30
- Number
- 3
- Start Page
- 339
- End Page
- 34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0714
- DOI
- 10.18208/ksdc.2024.30.3.339
- ISSN
- 1598-6497
- Abstract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통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창의 융합형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신기술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콘텐츠를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한 디지털새싹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본 연구는 STEAM 교육 방법론을 기반으로 컴퓨팅 사고력, 인공지능과 데이터, 융합형 문제해결 세 가지 주제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교육 전후 설문을 통해학습 참여자의 SW⋅AI에 대한 가치 인식, 자기 효능감, 흥미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고, 신기술 융합 디자인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치 인식, 자기 효능감, 흥미 등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AI/SW의활용에 대한 이해도와 프로그램의 유용성 인식에서큰 변화가 있었다. 이는 다학제적 접근 방식의 프로그램 개발이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구성 요소별 만족도 분석을 통해 확인된 주요 요인들은 향후 AI 융합 교육 콘텐츠 개발과 교육 정책 수립방향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방법론과 콘텐츠는 다양한 교육 단계및 전공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신기술을 활용한 창의융합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being widely integrated across various fields, consequently increasing the demand for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talents.
Reflecting these contemporary needs, this study developed new content to generate interest in emerging technologies and enhance digital competencies, and implemented it through the Digital NewSAC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EAM education methodology, programs were designed with three themes: computational thinking, AI and data, and convergent problem-solving, and conduct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re- and post-education surveys were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participants’ value perception,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SW and AI,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gital education program that utilizes new technology convergence desig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areas, including value perception, self-efficacy, and interest. Notably, substantial changes were observed in understanding the application of AI/SW and recognizing the program’s usefulness. This suggests tha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positively impacts the enhancement of students’ digital capabilities.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across different program components provides cruci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AI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 and effectiv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The educational methodology and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s for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AI and new technologies across various educational levels and academic field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