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의 팬데믹 유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노출치료 프로그램 프로토콜 개발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Protocol for Healthcare workers with Pandemic-induc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Other Titles
-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Protocol for Healthcare workers with Pandemic-induc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Authors
- 신용민; 김빛나; 김지선; 김기범; 김성권
- Issue Date
- Oct-2024
- Publisher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Keywords
- 팬데믹; 의료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지속노출치료; 가상현실; pandemic; healthcare work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rolonged exposure therapy; virtual reality
- Citation
-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v.17, no.2, pp 163 - 186
- Pages
- 2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 Volume
- 17
- Number
- 2
- Start Page
- 163
- End Page
- 18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0826
- DOI
- 10.22417/DPSS.2024.10.17.2.163
- ISSN
- 2005-4580
- Abstract
-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의료진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주요 취약집단으로 대두됨에 따라, 향후 발생 가능한 팬데믹에 대비하여 의료진을 위한 체계적인 치료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진의 팬데믹 유발 PTSD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노출치료(VRET) 프로그램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된 VRET 연구 문헌 고찰과 코로나19 병동 근무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프로토콜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후 초안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 및 보완 후 최종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최종 VRET 프로토콜은 지속노출치료 원리에 기반한 10회기 프로그램으로, 외상 관련 자극에 대한 실제노출과 가상현실을 통한 상상노출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팬데믹 유발 PTSD에 대한 VRET 프로토콜 개발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고, 개발과정 및 내용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highlighted frontline healthcare workers as a vulnerable population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necessitating therapeutic approaches for them. This study developed a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VRET) protocol for healthcare workers with pandemic-induced PTSD. The draft protocol was develop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VRET program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nurses who worked in COVID-19 wards. Following expert consultation on this draft, the final protocol was completed. The VRET protocol is a 10-session program based on prolonged exposure therapy principles, incorporating both in vivo exposure to trauma-related stimuli and imaginal exposure through virtual reality.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RET protocol development process, discussing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PUTING >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