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랑신(二郎神) 양전(楊戩)의 콘텐츠 활용에서 상징적 의미와 이미지 재구성The Symbolic Meaning and Image Reconstruction in the Utilization of Irangshin Yangjeon's Content

Other Titles
The Symbolic Meaning and Image Reconstruction in the Utilization of Irangshin Yangjeon's Content
Authors
고운기
Issue Date
Feb-2025
Publisher
열상고전연구회
Keywords
이랑신(二郎神) 양전(楊戩); 저항정신; 효도문화; 콘텐츠 혁신; Chinese mythology; Erlang Shen Yang Jian; filial piety; modernization; cultural reconstruction; symbolic representation
Citation
열상고전연구, no.85, pp 419 - 477
Pages
59
Indexed
KCI
Journal Title
열상고전연구
Number
85
Start Page
419
End Page
47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5121
DOI
10.15859/yscs..85.202502.419
ISSN
17382734
Abstract
중국 신화는 중국 문화의 핵심 구성 요소로, 풍부한 역사와 깊은 문화적 함의를 담고 있다. 글로벌화와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신화 속 인물들은 시대와 문화를 초월하는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대적인 서사 방식을 통해 재해석되고 새롭게 전파되고 있다. 이랑신 양전은 중국 신화 속에서 효도와 권력에 대한 저항정신을 상징하여 고대부터 많은 주목과 존경을 받아왔다. 그 역사적 변천 과정은 어떻고, 현대적 가치는 무엇인가. 이랑신의 형상은 한(漢)나라 때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이빙(李冰), 독건(獨健), 조욱(趙昱) 등 여러 인물로 대체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명나라 시기에 양전으로 확립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문화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이랑신 양전의 이미지는 애니메이션, 게임,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신신방: 양전」은 양전이 신력을 잃고 인간이 된 이후 세상을 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게임 「검은 신화: 오공」은 손오공의 유물을 지키기 위해 비난을 감수하면서 플레이어를 시험하는 양전의 여정을 그린다. 또한 드라마 「보련등 전전」은 전통 신화를 기반으로 하면서 양전에게 새로운 감정선을 부여하여 현대적 해석을 더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디지털 기술과 현대적인 서사 방식을 통해 양전의 이미지를 재구성하며, 현대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해 권력에 대한 저항과 정의 추구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랑신 양전의 이미지는 전통문화를 계승하면서 현대 상업적 가치를 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애니메이션, 게임,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 양전의 이미지는 전통 신화를 현대적 서사로 재구성하며, 전통과 현대를 잇는 상징적 매개체로 기능하고 있다. 이를 콘텐츠 혁신이라 한다. 이는 전통문화의 보존을 넘어, 상업적 성공을 통해 그 가치를 확장하고, 전통 신화 인물의 현대적 재구성에 새로운 시각과 영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Chinese mythology is an integral component of Chinese culture, encompassing a rich historical legacy and profound cultural significance. With the advancement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mythological figures have transcended temporal and cultural boundaries, emerging as universal symbols that are continually reinterpreted and disseminated through modern narratives. One such figure is also known as Yang Jian, who embodies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resistance to authority in Chinese mythology. Since ancient times, he has garnered considerable reverence and attention. How can the depiction of Erlang Shen be traced back to the Han Dynasty, where he evolved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s, including Li Bing, Du Jian, and Zhao Yu, before being definitively established as Yang Jian during the Ming Dynasty? In contemporary societ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has facilitated the widespread adaptation of Erlang Shen across various forms of media, including animation, games, and television dramas. The animated film New Gods: Yang Jian reimagines the character as a mortal who has lost his divine powers and embarks on a journey to save the world. Similarly, the video game Black Myth: Wukong presents Yang Jian as a figure who endures adversity while safeguarding the relics of Sun Wukong, challenging players to navigate his trials. Additionally, the television drama The Prequel to the Lotus Lantern integrates elements of traditional mythology with new emotional dimensions, offering a modernized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These contemporary adaptations reconstruct Yang Jian’s image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modern storytelling techniques, reflecting contemporary values and imbuing new meanings. His portrayal frequently explores themes of resistance to authority and the pursuit of justice, playing a crucial role in connecting traditional culture with modern commercial value. Across various media platforms, Yang Jian serves as a symbolic bridg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demonstrating how traditional mythology can be reinterpreted in contemporary narratives. This process, known as content innovation, not only preserves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enhances its value through commercial success. By offering a fresh perspective and inspiration for the modern reinterpretation of mythological figures, it signifies a seamless blend of cultural heritage and contemporary creativity, achieving both cultural preservation and dynamic evolu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 Woon Kee photo

Ko, Woon Kee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문화콘텐츠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