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조영동 222번지 유적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식단 복원Reconstruction of Human Diets Using Stable Analysis of Human Bones from the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Gyeongsan(慶山)
- Other Titles
- Reconstruction of Human Diets Using Stable Analysis of Human Bones from the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Gyeongsan(慶山)
- Authors
- 최경철
- Issue Date
- Dec-2024
- Publisher
- 영남문화연구원
- Keywords
- 안정동위원소 분석; 임당 유적. 조영동 고총군; 조영동 222번지; 식생활 analysis of stable isotopes; Imdang site(林堂 遺蹟); Joyeong-dong great tumulus (造永洞 古塚群);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dietary habits
- Citation
- 영남학, no.91, pp 109 - 132
- Pages
- 2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영남학
- Number
- 91
- Start Page
- 109
- End Page
- 13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5461
- DOI
- 10.36034/yncdoi.2024..91.109
- ISSN
- 1738-7760
2713-8070
- Abstract
- 경산시 조영동 222번지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과 그 결과를 이용하여 당시 식생활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금까지 임당 유적 중 사적인 조영동 고총군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등을 통해서 당시 살았던 사람들의 식생활 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었다. 이번 연구는 고총군에 묻히지 못한 경산 조영동 222번지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과 그 결과를 가지고 이곳에 묻힌 사람들의 식생활을 알아보았다.
이들의 식단을 보면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값은 벼, 맥류(밀, 보리), 두류(콩, 팥)와 같은 C3계 식물을 주로 먹은 것으로 보이며,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값은 사슴과 멧돼지가 아니면 임당 유적의 조영동 고총군 출토 인골의 분석 결과에서 밝힌 야생 꿩이나 기러기 같은 조류 등을 통해 육류를 섭취한 것 같다. 그렇지만 경산 조영동 222번지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값은 조영동 고총군에서 출토된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값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어패류 소비와 높은 조와(또는) 기장과 같은 밭작물의 소비 양상을 보여 이들 집단은 이른바 최상위 지배층이라기보다 이보다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집단의 식생활 패턴이라 유추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안정동위원소 분석과 그 결과를 통해서 삼국시대 임당 유적에서 조영동 고총군에 묻히지 못한 사람들의 식생활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삼국시대 경산지역의 사회구조를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는 자료가 아닌가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dietary habits of the Three Kingdom period’s Silla(新羅) territory using the analysis of stable isotopes of human bones from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Gyeongsan(慶山).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dietary reconstruction on the Silla population in Gyeongsan area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table isotopes of Joyeong-dong great tumulus(造永洞 古塚群) of Imdang site(林堂 遺蹟). In this study, we tried to reconstruct human diets through the stable isotope analyses of human remains from the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which are composed of plain burials next to well-known high burial mounds: Joyeong-dong great tumulus(造永洞 古塚群).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people in 222 Joyeong-dong(造永洞) have mainly consumed C3 plant species such as rice, wheat, barley, soybean. Isotope data revealed that deer, wild boar, and wild birds (pheasants, wild geese) are important animal protein sources in the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Furthermore, people in the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consumed less marine fish and more C4 plants than people in high burial mounds: Joyeong-dong great tumulus(造永洞 古塚群). Thus, we can suggest that people buried in tombs of 222 Joyeong-dong(造永洞) are not elite class rather than common people in Silla society.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