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시각적 구성 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AStudyontheVisual ComponentCharacteristics of Metaverse Social Media Platform- FocusingonFiveMajorPlatforms inChina
- Other Titles
- AStudyontheVisual ComponentCharacteristics of Metaverse Social Media Platform- FocusingonFiveMajorPlatforms inChina
- Authors
- 송지성
- Issue Date
- Nov-2024
- Publisher
- 한국공공디자인학회
- Keywords
- Meta-universe(메타버스); Virtual social platform(가상소셜플랫폼); VisualDesignElements(시각디자인요소)
- Citation
- 공공디자인연구, v.4, no.4, pp 20 - 36
- Pages
- 17
- Indexed
- KCICANDI
- Journal Title
- 공공디자인연구
- Volume
- 4
- Number
- 4
- Start Page
- 20
- End Page
- 3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5589
- DOI
- 10.54545/kspd.2024.12.20
- ISSN
- 27993167
- Abstract
- 본 연구는 중국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고, 소셜 플랫폼 설계와 사용자 경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중국의 메타버스, 특히 5대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관한 연구 자료를 수집 및 고찰하였고, 일반 소셜미디어 플랫폼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매체별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사례를 분석하고 시각적 구성 요소를 비교하여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장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5대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는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중국의 16~45세 사용자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형용사 및 평가 기준을 추출하고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시장 조사, 비교 분석, 설문조사 방식을 활용하였다. 조사 결과,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삶의 다양성을 유도하고, 몰입감과 상호작용의 가상현실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시나리오를 활용할 수 있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DV101' 플랫폼은 전통문화의 계승과 대중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인지도를 형성하였고, 'SOUL'과 '메타버스 섬' 플랫폼은 Z세대의 사용이 많다. 다른 가상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디자인에는 시각적 요소가 부족하고, 시뮬레이션 기능을 개선해야 하며, 새로운 기능은 여전히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동시에 메타버스 소셜미디어 플랫폼은 시각적 경험, 상호작용 및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더욱 개선되어야 한다.
With the rapid growth and advancement of digital and network technologie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virtual platforms has also become active, and the concept of "meta" has been widely mentioned and appli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meta-space space design, related social media platforms, anddigital image reconstructionhave emerged as newtrends in the design field.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metaverse social media platforms, offering design and user experience improvement directions. Research on five major platforms was conducted, comparing themwith traditional social media to analyze strengths andweaknesses. Through case studies, the study identified unique advantages in visual and interactive elements. A user survey revealed that metaverse platforms enhance life diversity and immersive virtual experiences. Platforms like “DV101” contribute to traditional culture preservation, while “SOUL” and “Metaverse Island” are popular among Gen Z. However, most platforms require improvements in visual design, simulation features, andtechnical aspects tooptimizeuserexperience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