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의 [Vておく]문과 이와 대응하는 한국어 문의 통사구조와 의미
- Authors
- 박용일
- Issue Date
- Oct-2016
- Publisher
- 동아시아일본학회
- Keywords
- 통사구조; 의미; [Vておく]문; 대응하는 한국어; Structure; Semantics; [Vteoku] sentence; Corresponding Korean; 統語構; 意; [Vておく]文; 対応する韓国語
- Citation
- 일본문화연구, no.60, pp 103 - 118
- Pages
- 1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일본문화연구
- Number
- 60
- Start Page
- 103
- End Page
- 11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593
- DOI
- 10.18075/jcs..60.201610.103
- ISSN
- 1229-4918
- Abstract
- 본고에서는 일본어의 [Vておく]문과 이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한국어 [V어 두다]문, [V어 놓다]문의 통사구조와 의미를 고찰하고, 통사구조와 의미의 관계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통사구조에 대한 고찰은 [Vておく]문, [V어 두다]문, [V어 놓다]문이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표층구조뿐만이 아니라 심층구조가 복문구조라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표층구조로 파생되는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파생구조, 즉 [Vておく]문, [V어 두다]문, [V어 놓다]문이 컨트롤구조인지 상승구조인지를 제시하였다. 의미적인 측면에서는 모든 동사들이 포함하고 있는 어스펙트의 보편적인 속성인 한계성과 비한계성으로 양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Vておく]문, [V어 두다]문, [V어 놓다]문의 통사구조와 의미의 관계성을 4장의 <표 1>과 같이 제시하였다. 또한 <표 1>의 사실을 바탕으로 표면적으로 일본어의 [Vておく]문이 두 개의 한국어 문 [V어 두다]문과 [V어 놓다]문으로 대응하여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semantics of the Japanese [V-te-oku] sentence and its corresponding Korean [V-eo-duda], [V-eo-notta] sentence, and also suggest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semantic meaning. The analysis of the syntactic structures is especially focused on the derivation structures, whether it is a control structure or a raising structure. And the semantic meanings of the Japanese [V-te-oku] sentence and the Korean [V-eo-duda], [V-eo- notta] sentence are presented by telic and atelic aspectual meanings. Through this analysi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semantics of the Japanese [V-te-oku] sentence and the Korean [V-eo-duda], [V-eo-notta] sentence can be represented by in Section 4 Table 1. Also, based on Table 1,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 for the surfac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V-te-oku] sentence and the Korean [V-eo-duda], [V-eo-notta] sentence.
本稿では日本語の[Vておく]文と、この文に対応して表われる韓国語の[V-eo-duda]文と[V-eo-notta]文の統語構造と意味を考察し、統語構造と意味との相関性を提示した。
特に、統語構造の考察については、[Vておく]文、[V-eo-duda]文、[V-eo-notta]文の表層構造は勿論、これらの文が深層構造から表面的に表われる際の派生構造を示した。つまり、[Vておく]文、[V-eo-duda]文、[V-eo-notta]文がそれぞれコントロール構造であるのか、繰り上げ構造であるのかを示した。意味的な側面からは、全ての動詞が普遍的に含意しているアスペクトの意味である限界性と非限界性が[Vておく]文、[V-eo-duda]文、[V-eo-notta]文にどのように表われるのかを示した。
このような考察を基に、[Vておく]文、[V-eo-duda]文、[V-eo-notta]文のそれぞれの統語構造と意味を4章の表1のように提示した。また、表1の事実から、表面的に日本語の[Vておく]文が2つの韓国語の文、[V-eo-duda]文、[V-eo-notta]文と何故対応して表われるのかを提示した。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JAPANESE STUDIE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