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기준 변화에 따른 유출량 평가Assessment of Runoff Change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Hydrologic Soil Group
- Other Titles
- Assessment of Runoff Change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Hydrologic Soil Group
- Authors
- 박동혁; 안재현; 강두선; 김태웅
- Issue Date
- Oct-2016
- Publisher
- 대한토목학회
- Keywords
- 정밀토양도; 유출곡선지수; 수문학적토양도
- Citation
- 2016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 111 - 112
- Pages
- 2
- Indexed
- OTHER
- Journal Title
- 2016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 Start Page
- 111
- End Page
- 11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2624
- Abstract
- NRSC-CN 방법에서 토양도를 수문학적 토양군(A, B, C, D)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유출수문곡선(Curve Number, CN)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유출량 산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용할 수 있는 토양도 의 종류는 개략토양도와 정밀토양도가 있으며, 개략토양도에 분류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토양 종류는 21가지 로 분류되고 있으며, 정밀토양도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토양 종류는 약 1,200여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분류된 토양을 수문학적 토양군(A, B, C, D)으로 구분하여 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현재 실무에 서는 농림부 산하 농업과학기술원에서 제작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이용하고 있으나, 2007년 이전에 는 개략토양도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2007년을 기준으로 동일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사용 되는 토양도의 종류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군이 달라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설계홍수량 산정을 하는 경우 큰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략토양도와 정밀토양도 적용에 따른 수문학적 토양군의 변 화를 댐유역을 대상으로 살펴보고 이에 따른 홍수량 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로 토양군 B, C 가 차지하는 면적은 감소하고, 토양군 A, D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수문학적 토양군의 지배면 적에 따라 유출곡선지수가 변화하고 이로 인해 홍수량에 변화를 가져왔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