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현대기 서구 神道담론의 경향 - 오리엔탈리즘에서 구로다 테제까지 -A Tendency of the Western Discourses on Japanese Shinto from Modern Era to Nowadays: Orientalism and Kuroda Thesis

Other Titles
A Tendency of the Western Discourses on Japanese Shinto from Modern Era to Nowadays: Orientalism and Kuroda Thesis
Authors
박규태
Issue Date
Sep-2016
Publisher
동양사학회
Keywords
神道; 西歐神道言說; オリエンタリズム; 黑田テーゼ; 日本文化論; 신도; 서구 신도담론; 오리엔탈리즘; 구로다테제; 일본문화론; Shinto; Western Discourse on Shinto; Orientalism; Kuroda-Thesis; Nihon-bunka-ron
Citation
동양사학연구, no.136, pp 49 - 88
Pages
40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양사학연구
Number
136
Start Page
49
End Page
8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084
DOI
10.17856/jahs.2016.09.136.49
ISSN
1226-1270
Abstract
신도는 흔히 “일본 고유의 민족종교”라고 (잘못) 말해져온 만큼, 서구의 신도담론이야말로 오리엔탈리즘의 문제를 고찰하기에 적합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목적은 “신도란 무엇인가?”라는 아이덴티티 규명을 위한 예비작업으로서 신도(神道)에 대한 서구 담론(주로 영어권)의 경향을 개관하는 한편, 나아가 오리엔탈리즘의 문제와 관련하여 서구 신도담론의 의의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서구 신도연구의 토대가 되는 기초 영역으로서 고전텍스트의 번역, 신도신화와 의례연구, 신도신앙과 사상연구 등을 개관할 것이다. 이어 서구 신도담론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여겨지는 국가신도 담론과 일본문화론적 신도담론에 대해 살펴본 후, 국가신도의 종언을 선포한 <신도지령>이 나온 1945년을 기준삼아 전전과 전후로 나누어 서구 신도담론의 큰 흐름과 그 의의에 대해 각각 오리엔탈리즘과 구로다 테제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一般に神道は「日本固有の民族宗敎」というふうに(間違って)いわれてきたが、それゆえ西洋の神道言說こそオリエンタリズムの問題を考察するうえで適切な對象といえよう。本考の目的は「神道とは何か?」というアイデンティティ-を糾明するための一つの豫備作業として神道に対する西洋の諸言說(主に英語圈)の傾向を槪觀していく一方、さらにオリエンタリズムの問題とかかわり西洋の神道言說の意義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ある。このため、本考ではまず、西洋における神道硏究のベースとなるような基礎領域として、古典テクストの飜譯や硏究、神道神話と儀禮硏究、神道信仰や思想硏究などを槪觀する。続いて西洋の神道言說のなか大きな位置を占めるようなテ-マである「國家神道言說」や「日本文化論的な神道言說」について檢討し、しかも國家神道の終焉を宣布した「神道指令」の出た1945年を期して戰前と前後とにわけて西洋の神道言說における主な流れやその意義についてそれぞれ「オリエンタリズム」と「黒田テ-ゼ」を中心に考えていこうとする。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JAPANESE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