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화단계 모형의 적용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혜진-
dc.date.accessioned2021-06-22T18:01:51Z-
dc.date.available2021-06-22T18:01:51Z-
dc.date.created2021-01-22-
dc.date.issued2016-05-
dc.identifier.issn1229-2869-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4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변화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반응이 각 단계의 흡연자 집단마다 차이가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811명의 흡연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온라인설문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과 매개분석, 일원 분산 분석을 통해 가설과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위협 소구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은 각각 금연의도에 중요한 예측 변수이었고, 지각된 효과성은 공포 반응과 금연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도 하였다. 변화단계별 회귀 분석 결과, 사전숙고 단계의 흡연자들에서 공포 반응이 금연의도의 예측 변수이었던 반면, 행동 단계의 흡연자들에서는 지각된 효과성이 금연의도의 예측 변수이었다. 숙고 단계와 준비 단계의 흡연자들에서는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 모두 금연의도의 예측 변수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위협 소구 캠페인 메시지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공포 수준이 높아야 함은 물론이고 공포 반응을 통해 수용자들이 메시지를 설득적이라고 평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변화단계별로 세분화된 흡연자들에게 맞는 차별화된메시지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PR학회-
dc.title금연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공포 반응과 지각된 효과성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화단계 모형의 적용-
dc.title.alternativeHow Fear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Antismoking Messages Affect Smokers’ Quitting Intention: Application of Stage of Chang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백혜진-
dc.identifier.doi10.15814/jpr.2016.20.2.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홍보학연구, v.20, no.2, pp.1 - 27-
dc.relation.isPartOf홍보학연구-
dc.citation.title홍보학연구-
dc.citation.volume2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endPage27-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110494-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Y-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위협 소구-
dc.subject.keywordAuthor공포-
dc.subject.keywordAuthor지각된 효과성-
dc.subject.keywordAuthor금연 캠페인-
dc.subject.keywordAuthor변화단계 모형-
dc.subject.keywordAuthor수용자 세분화-
dc.subject.keywordAuthor메시지전략-
dc.subject.keywordAuthorthreat appeal-
dc.subject.keywordAuthorfear-
dc.subject.keywordAuthorperceived effectiveness-
dc.subject.keywordAuthorantismoking campaign-
dc.subject.keywordAuthorstage of change-
dc.subject.keywordAuthoraudience segmentation-
dc.subject.keywordAuthormessage strategy-
dc.identifier.urlhttps://www.earticle.net/Article/A285500-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ek, Hye Jin photo

Paek, Hye Jin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광고홍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