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변혁적 리더십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 동일시의 매개 효과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Unethical Pro - Organizational Behavior -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Unethical Pro - Organizational Behavior -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uthors
이강민주시각전상길
Issue Date
Feb-2016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Business ethic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ocial identity theory; 윤리 경영; 변혁적 리더십;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조직 동일시; 사회 정체성 이론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4, no.2, pp 83 - 98
Pages
16
Indexed
KCI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4
Number
2
Start Page
83
End Page
9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572
DOI
10.14400/JDC.2016.14.2.83
ISSN
2713-6434
2713-6442
Abstract
본 연구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동일시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 및 가설을 개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다. 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 229명이 제출한 온라인 설문 자료를 사용했고 구조 방정식 분석을 사용해 가설을 검증했다. 설문 조사가 갖는 동일 방법 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하고 전산화된 설문지를 사용했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 동일시에 의해서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동일시를 통해 부하들의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not only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TFL) on employees'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UPB), but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OID) between TFL and employees' UPB. This study employed two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testing of the developed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instruments from 229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in Korea. To test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model is shown as adequately fitting to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t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FL and employees' UPB, and OID play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FL and employees' UPB. These findings provide a meaningful implication that the positive impact of TFL is linked to employees' UPB through OI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 SANG GIL photo

JEON, SANG GIL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