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형 가솔린 엔진의 폐열 회수 장치인 슈퍼히터의 최적 위치선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A Simulation Study for Selecting Optimum Position of a Superheater in a Waste Heat Recovery System Integrated with a Large Gasoline Engine

Other Titles
A Simulation Study for Selecting Optimum Position of a Superheater in a Waste Heat Recovery System Integrated with a Large Gasoline Engine
Authors
김세린최경욱이기형김기범
Issue Date
Feb-2016
Publisher
대한기계학회
Keywords
Automotive Engine; Heat Exchanger; Rankine Cycle; Waste Heat Recovery; Two Phase Flow; 자동차 엔진; 열교환기; 랭킨사이클; 폐열 회수; 이상유동
Citation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 v.40, no.2, pp 69 - 73
Pages
5
Indexed
SCOPUS
KCI
Journal Title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
Volume
40
Number
2
Start Page
69
End Page
7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575
DOI
10.3795/KSME-B.2016.40.2.069
ISSN
1226-4881
Abstract
최근 자동차 엔지니어들은 자동차 엔진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폐열 회수 기술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배기량이 큰 가솔린 엔진은 대체로 V형인데, 열 회수를 위해 두 개의 슈퍼히터를 각각의 배기 다기관 가까이에 설치하는 것은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하나의 슈퍼히터를 한쪽 배기 다기관에 최대한 가깝게 부착하면 좀 더 높은 열교환 효율을 얻을 수 있으나 폐열회수를 위한 배기가스의 유량은 절반이 된다. 반면에, 배기가스의 유량을 전부 이용하기 위하여 두 배기관이 합류된 지점에 슈퍼히터를 설치하면 배기가스의 온도는 많이 감소된다. 이 사실을 바탕으로 슈퍼히터의 최적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용 프로그램인 AMESim을 이용해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때, 배기가스 유량 중 절반만을 사용하더라도 슈퍼히터를 배기 다기관과 최대한 가까이 부착하는 것이 엔진의 배기가스로부터 3.8 kW의 열을 더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폐열 회수 모델을 도출하고 제안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I HYUNG photo

LEE, KI HYUNG
ERICA 공학대학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