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상품 소비 규모 결정 요인 - 취향, 미디어 이용,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전범수 | - |
dc.contributor.author | 박조원 | - |
dc.contributor.author | 박성복 | - |
dc.date.accessioned | 2021-06-22T18:04:04Z | - |
dc.date.available | 2021-06-22T18:04:04Z | - |
dc.date.issued | 2016-01 | - |
dc.identifier.issn | 1738-1258 | -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59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연간 문화 상품 소비와 이와 같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미술 전시회를 비롯해 클래식 연주, 책 구입, 공연, 대중음악 콘서트, 영화, 축구 및 야구 같은 스포츠, 사진 전시회 등 9개의 문화 상품 소비와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취향을 포함해 미디어 이용, 인구사회학적 요인 등 3개 차원에서 탐색적으로 접근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책을 포함해 영화 등 대중적인 문화 상품 소비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포츠와 순수 문화 상품 소비 규모는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취향은 문화 상품 소비와 밀접하게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디어 이용 변수들은 문화 상품 소비와 연계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대부분의 문화 상품 소비는 개인 소득 규모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 상품 소비를 결정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본 결과, 소득 변수와 취향 변수가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determinants of cultural consumption including nine cultural services. The major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book buying was the largest consuming service among nine cultural services. Sports and artistic cultural services were the smallest consuming service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cultural services. Secondly,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consumption and individual taste, and cultural consumption and individual income. Thirdly, regression analyses explained that major determinants of cultural consumption were individual taste and economic factor including income. It suggested that a variety of cultural consumption can be determined by individual taste for cultural services and economics capital. | - |
dc.format.extent | 22 | - |
dc.language | 한국어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 |
dc.title | 문화 상품 소비 규모 결정 요인 - 취향, 미디어 이용,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 | - |
dc.title.alternative | Determinants of Cultural Consumption | - |
dc.type | Article | - |
dc.publisher.location | 대한민국 | - |
dc.identifier.doi | 10.16937/jcp.30.1.201601.182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문화정책논총, v.30, no.1, pp 182 - 203 | - |
dc.citation.title | 문화정책논총 | - |
dc.citation.volume | 30 | - |
dc.citation.number | 1 | - |
dc.citation.startPage | 182 | - |
dc.citation.endPage | 203 | - |
dc.identifier.kciid | ART002076605 | - |
dc.description.isOpenAccess | N | -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 kci | - |
dc.subject.keywordAuthor | Cultural Products | - |
dc.subject.keywordAuthor | Cultural Consumption | - |
dc.subject.keywordAuthor | Cultural Taste | - |
dc.subject.keywordAuthor | 문화 상품 | - |
dc.subject.keywordAuthor | 문화 상품 소비 | - |
dc.subject.keywordAuthor | 문화 취향 | - |
dc.identifier.url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00109 | - |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55 Hanyangdeahak-ro, Sangnok-gu, Ansan, Gyeonggi-do, 15588, Korea+82-31-400-4269 sweetbrain@hanyang.ac.kr
COPYRIGHT © 2021 HANYANG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Certain data included herein are derived from the © Web of Science of Clarivate Analytics. All rights reserved.
You may not copy or re-distribute this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without the prior written consent of Clarivate 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