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주행거리자료와 통행배정모형을 결합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연구open accessEstimating Vehicle Emissions based on Traffic Assignment Analysis Combined with Vehicle Inspection Data on Vehicle Kilometers Traveled
- Other Titles
- Estimating Vehicle Emissions based on Traffic Assignment Analysis Combined with Vehicle Inspection Data on Vehicle Kilometers Traveled
- Authors
- 유한솔; 김익기; 이태훈; 김지혜
- Issue Date
- Sep-2020
- Publisher
- 한국교통연구원
- Keywords
- 온실가스; 자동차주행거리자료(VKT); 통행배정모형; 온실가스감축 정책; Selected link analysis; Greenhouse gas; Vehicle mileage; Static traffic assignment; Emission model; Emission reduction policy; Selected link analysis
- Citation
- 교통연구, v.27, no.3, pp 95 - 113
- Pages
- 19
- Indexed
- KCI
DOMESTIC
- Journal Title
- 교통연구
- Volume
- 27
- Number
- 3
- Start Page
- 95
- End Page
- 11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591
- DOI
- 10.34143/jtr.2020.27.3.95
- ISSN
- 1738-4028
- Abstract
-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중앙 정부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통행패턴을 지닌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를 보다 현실적으로 추정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Bottom-up방법으로 자동차주행거리 자료와 통행배정모형을 통해 공간적 개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자동차 주행거리 자료와 통행배정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1)자동차 정기검사를 통한 실제 측정된 주행 거리 총량은 현실성 있는 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2)교통존내부 통행(Intra-zonal trip)에 의한 온실가스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지역 간 배출량, OD pair위치에 따른 통행유형별 배출량, 그리고 도로 위계 별 배출량 분석결과를 공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교통패턴 특성별(교통존 간, 교통존 내, 교통존 통과교통) 온실가스 추정은 정책결정에 자세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교통 관련 온실가스 정책에 응용할 수 있어 연구 의미가 높다. 사례분석으로 시군구 단위로 대한민국 전국 도로 온실가스를 추정하였으며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교통존내부 통행 배출량은 47.6%, 통과통행 배출량은 35.3%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 교통정책 수립 및 평가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While the concept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is valued worldwide, central governments need to be able to estimate greenhouse gas(GHG) emissions at the local government geographic level more realistically using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This study presents a bottom-up method of spatially estimating road GHG emissions using a combination of vehicle kilometer traveled(VKT) data and a traffic assignment model. This combined model allows realistic estimation of road GHG emissions using the actual total mileage measured during regular vehicle inspections. The proposed method allows spatial analysis of emissions by objective region, by trip type of origin-destination pair location, and by road hierarchy. In particular, it provides detailed GHG estimates according to regional traffic pattern characteristics (intra-zonal, internal-external zonal, and through-zone trips), which is especially helpful in policy making. The method can be meaningfully applied to various transportation-related GHG policies, as demonstrated herein through a case analysis of Korea"s road GHG emissions. Intra-zonal and through trips were found to account for 47.6% and 35.3% of total GHG emissions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year. Such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local and central GHG transportation policie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