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통행실태조사를 이용한 통행발생모형 정산Trip Generation Model Calibration By Using Home-base Trip Survey.
- Other Titles
- Trip Generation Model Calibration By Using Home-base Trip Survey.
- Authors
- 이기택; 김익기
- Issue Date
- Feb-2015
- Publisher
- 대한교통학회
- Keywords
- 가구통행실태조사; 선형회귀분석; 통행발생모형
- Citation
- 대한교통학회 제72회 학술발표회, v.72, no.2, pp 347 - 350
- Pages
- 4
- Indexed
- OTHER
- Journal Title
- 대한교통학회 제72회 학술발표회
- Volume
- 72
- Number
- 2
- Start Page
- 347
- End Page
- 35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8834
- Abstract
- 현재 배포되는 장래 여객통행발생량 자료의 경우 사회경제 지표를 이용하여 각 행정동 단위로 통행발생모형을 구축하여 산출되고 있다. 그러나 존별로 집합화된 자료를 이용하여 장래 통행발생량을 예측할 경우 모형의 설명변수의 계수 값이 자료의 수에 따라 차 이가 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모형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통행발생모형을 가 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통하여 구축, 여기에 장래 존별 사회경제지표를 대입하여 장래 통행발생량을 예측하는 분석을 진행한다. 2006년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한 가구단위 통행발생모형과 존 단위 통행발생모형에 2010년 집합 화된 설명 자 료를 대입하여 도출된 통행발생량과 2010년 실제관측 통행발생량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여 어느 모형이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지를 판단한다. 비집합화 자료를 이용하여 정산한 통행발생 모형에 행정동 단위로 집합화된 사회경제 지표를 사용하는 것은 본 연구가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기에 가능하였다. 또한 소득별 범주를 나누어 표본을 추출,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을 시 구 축된 통행발생모형에서 도출된 장래통행발생량이 관측 통행발생량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득범주를 적용 하여 자료를 구축한 통행발생모형을 사용하였을 시, 다른 두 모형보다 관측통행량과의 평균오차율이 낮게 분석이 되었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