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웹툰 이용자의 출판 콘텐츠 연계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Flow-DTPB 융합 모델의 적용A Study on the Intention of Publication Contents Use among Webtoon Users: Converged Flow-DTPB Model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ntion of Publication Contents Use among Webtoon Users: Converged Flow-DTPB Model
Authors
최믿음전범수
Issue Date
Dec-2015
Publisher
한국언론학회
Keywords
webtoon; publication contents; Flow-DTPB Model; 웹툰; 출판 콘텐츠; 웹툰 구성 요소; Flow-DTPB 융합 모델
Citation
한국언론학보, v.59, no.6, pp 283 - 313
Pages
3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언론학보
Volume
59
Number
6
Start Page
283
End Page
31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19304
ISSN
1229-7526
2586-7369
Abstract
이 연구는 웹툰 이용자가 웹툰 소재의 이종 미디어 콘텐츠를 연계 이용하는 의도를 이론적 근거 아래 설명하기 위해 Flow-DTPB 융합 모델을 수립하고 어떠한 변인이 웹툰 소재 이종 미디어 콘텐츠 이용 의도를 설명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다양한 이종 미디어 콘텐츠 유형 중에서도 가장 활발히 연계 제작되는 출판 콘텐츠에 주목하여 웹툰을 구성하는 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웹툰 소재 출판 콘텐츠 연계 이용 의도를 설명, 예측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웹툰 이용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웹툰의 구성 요소 인식은 ‘문학적 요인’과 ‘디지털/신용어 활용 요인’으로 나타났다. ‘문학적 요인’, ‘디지털/신용어 활용 요인’은 출판 콘텐츠의 상대적 이점과 호환성에 정적으로, ‘구성 및 연출 요인’은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웹툰 이용의 즐거움과 출판 콘텐츠의 상대적 이점이 출판 콘텐츠 이용에 대한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와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 통제가 출판 콘텐츠 이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웹툰 소재의 이종 미디어 콘텐츠를 연계 이용하는 현상을 이론적 근거 아래 설명하는 것에서 나아가 웹툰의 OSMU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작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Webtoon is not only popular online but has increased their popular reach through a transformation into various media contents. More specifically, for webtoon that has secured a sufficient number of subscribers, films, soap operas, theaters, character products, games and published material are also produced. This study seeks to explain based on Flow-DTPB Model, the user intention to link different types of content(Publication Contents) with a webtoon theme. Using factor analysis, this study found four components in webtoon such as visual design, literary, composition and direction, and the usage digital/new terms components. The results of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found that some factors including literary component(+), digital component(+), composition and direction component(-), playfulness(+), relative advantage(+),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explained the intention of publication contents use among webtoon user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n, Bum Soo photo

Chon, Bum Soo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미디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