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오류에 관한 연구Pronunciation Errors in Korean Syllable Coda by Native Chinese Speakers

Other Titles
Pronunciation Errors in Korean Syllable Coda by Native Chinese Speakers
Authors
김태경
Issue Date
Dec-2014
Publisher
한국언어문화학회
Keywords
제2언어; 발음 오류; 유표성 차이 가설; 음절 말음; 중국어 모어 화자; 음운 대응;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error;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syllable coda; native Chinese speaker; phonological correspondence
Citation
한국언어문화, v.55, pp 5 - 34
Pages
3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언어문화
Volume
55
Start Page
5
End Page
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4175
ISSN
1598-1576
2733-876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지각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8명(초급 14명, 중급 14명)의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청취 실험을 실시하고 한국어 음소에 대한 변별적 지각의 난이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종성 파열음의 조음 위치 변별에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개음과 양순음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초성 자음의 경우에는 평음, 경음, 격음을 특히 잘 구별하지 못하였고, 어두 위치에서는 평음을 격음과 혼동하는 사례가 많았으며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을 경음과 혼동하는 사례가 많았다. 중첩자음과 단자음의 변별 청취 실험에서는 어중 비음이 중첩될 때 단자음으로 잘못 지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유음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단자음을 중첩자음으로 잘못 지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모음에서는 /ㅗ/와 /ㅜ/를 서로 혼동하는 양상이 두드러졌고, /ㅓ/를 원순모음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피험자의 한국어 숙달도 수준에 따라 변별 지각 정답률을 살펴보면, 초성 자음에 대해서는 중급 집단이 초급 집단에 비해 다소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그러나 종성 자음이나 모음에서는 그 차이가 미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모어의 음소 체계가 제2언어의 음소 변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기존의 가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언어 음소 범주를 정확히 지각하는 비율은 개별 음소의 음운 자질이나 음운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observed the pronunciation error patterns in Korean syllable coda by native Chinese speake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joining sound on the target sound. The examinees were Chinese students enrolled at language school in Korea, including 13 beginners and 13 intermediate learners. Our data indicate that the error rates were high in the order of /t/(81%), /k/(64%), /n/(32%), /m/(25%), /l/(24%), /ŋ/(15%), and /p/(12%). In addition, the pronunciation errors were relatively frequent when the coda consonant was followed by an onset consonant. Considering that only /n/ and /ŋ/ can be placed at coda position in the examinees’ first language, it was an unexpected result that pronunciation errors for /p/ were fewer than those for /n/ or /ŋ/.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honological correspondence between first language(L1) and second language(L2) can not account for all of the observed errors. The examinees were influenced by the articulatory difficulty of the target sound of L2 itself, although the phonemic system of L1 may influence the pronunciation of L2. These support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which suggest that certain linguistic elements are more basic, natural, and frequent(“unmarked”) than others which are referred to as “marked”.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OFFICE OF ACADEMIC AFFAIRS > CENTER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Tae kyung photo

Kim, Tae kyung
ERICA부총장 한양인재개발원 (ERICA 창의융합교육원)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