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령 및 배임사건이 보고이익에 대한 투자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The Impact of Misappropriation and Breach of Trust on Investor Responsiveness to Reported Earnings
- Other Titles
- The Impact of Misappropriation and Breach of Trust on Investor Responsiveness to Reported Earnings
- Authors
- 이성욱; 김영길; 김유찬
- Issue Date
- Aug-2014
- Publisher
- 한국회계학회
- Keywords
- 기업부정; 횡령; 배임; 이익반응계수; 투자자 반응; Fraud; Misappropriation; Breach of trust;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Investor responsiveness
- Citation
- 회계저널, v.23, no.4, pp 111 - 153
- Pages
- 4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회계저널
- Volume
- 23
- Number
- 4
- Start Page
- 111
- End Page
- 15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4609
- ISSN
- 1229-327X
- Abstract
- 기업부정은 크게 횡령(배임행위 포함)과 허위재무보고로 구분된다. 횡령⋅배임은 조직의 자원을 부당하게 활용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허위재무보고와 다르다. 본 연구는 횡령⋅배임 발생기업이 발표하는 보고이익에 대한 투자자의 반응을 실증적으로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횡령⋅배임이 적발된 이후, 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 외부감사의 강화 등 재무보고의 신뢰성 제고에 도움이 되는 구조적 변화가 추진되는 경향이 높다. 한편, 악화된 기업의 명성은 가치평가과정에서 어느 다른 요소들보다 지배적이며, 그것의 영향력은 때때로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횡령⋅배임 기업의 보고이익에 대한 투자자 반응은 기본적으로 재무보고의 신뢰성과 악화된 명성이라는 두 요인간의 상대적 우위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정기업의 이익반응계수는 정상기업의 이익반응계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은 부정기업의 이익반응계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악화된 명성이 이익반응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KOSPI 시장과 KOSDAQ 시장에 대해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향점수대응에 기초한 추가분석결과는 본문의 결과와 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실증모형에 낮은 차수의 변수들을 모두 포함시키는 방식 역시 결과를 변화시키지 않았다. 부정기업과 정상기업의 이익반응계수의 차이는 횡령⋅배임발생 차기연도에도 사라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고이익의 부호에 기초한 추가분석은 본문의 분석결과가 양(+)의 순이익 보고집단과 음(-)의 순이익 보고집단에 대해 차별적임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보다 큰 횡령⋅배임사건금액이 보다 낮은 이익반응계수와 연계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허위재무보고 영역에 집중되어온 기업부정 연구를 확장하여 횡령⋅배임사건이 주가-이익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관련문헌에 공헌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본 연구는 기업명성이 갖는 우세한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기업명성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Fraud might be broad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isappropriation (including breach of trust) and fraudulent financial reporting. Misappropriation or breach of trust is differentiated from financial statements fraud in that it is related to the misusage of resources in the organization or trust viol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st empirically the impact of reported earnings released by a fraud firm on investor responsiveness. Following the misappropriation or breach of trust detected, a fraud firm is likely to be driven by several structural changes (e.g.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the auditor's increased efforts for auditing, etc.) to help enhance the credi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On the other hand, it is believed that the firm's deteriorated reputation tends to be dominant over any other factors in valuation process and the influence of it sometimes lasts for a long time. In this regard, it can be stated that the investor responsiveness to reported earnings of a fraud firm basically tends to be determined by the relative dominance between two factors: the credi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and the deteriorated reput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i.e. the degree to which abnormal earnings explains abnormal stock returns) of fraud firm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fraud firms. The improvement in corporate governance is statistical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of fraud firms.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influence of deteriorated reputation on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is differential between two markets (e.g. KOSPI market and KOSDAQ market). The additional analysis based on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is consistent with this result. It does not also make the results changed to include all the lower-order variables in the model.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between fraud firms and non-fraud firms does not disappear in the period following the occurrence of misappropriation. The additional analysis based on the sign of reported earnings shows that the results can be differential between two groups (e.g. positive earnings vs. negative earnings). Finally, it is found that the larger amount of misappropriation is associated with the lower level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