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셜 공중에 적합한 새로운 공중 세분화 이론: 페이스북 페이지의 소셜 네트워크 요인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동성-
dc.contributor.author이현우-
dc.date.accessioned2021-06-23T00:44:50Z-
dc.date.available2021-06-23T00:44:50Z-
dc.date.created2021-01-22-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issn1229-2869-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4623-
dc.description.abstract세분화된 공중별 인식과 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일은 PR 실무자들이나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효과적인 PR 전략 수립을 위한 우선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Grunig의 상황이론과 Hallahan의 쟁점진행모델을중심으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양방향의 상호작용적·교류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중심이되는 현재 소셜 미디어 시대에는 새로운 공중, 즉 소셜 공중에 적합한 진화된 세분화 요인을 새롭게 제시할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새로운 기준으로서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이슈를 공유하는 이용자들 사이의 관계, 즉 소셜 네트워크라는 요인을 제시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핵심 연구문제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공중인 소셜 공중을 세분화하는 주요 요인들을 찾는것이다. 기존 공중 세분화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세분화 요인 중 관여와 지식 변인이 소셜 공중에게도유의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소셜 공중을 위해 새롭게 제시하는세분화 요인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하는 매개 및 소통 역할을 의미하는 사이 중앙성으로 정의한 소셜 네트워크, 즉 관계 요인도 유의한 소셜 공중 세분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관계 변인은 정보처리행동을 제외하고 정보추구행동과 쟁점진행모델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확장한 정보생산행동인 정보공유와정보저작 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여, 지식, 관계라는 3가지 세분화 요인들의 수준 고저에 따라 8개의 소셜 공중을 유형화하고 그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행동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 변인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서베이를 통한 인식적 차원의 측정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적 측정은 소셜 미디어의 사생활보호 정책과 샘플링 등의 문제들로 인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관여, 지식, 그리고 관계가 소셜 공중을 세분화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셜 공중을 유형화함으로써 효과적인 소셜 미디어 PR 전략을 위한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SN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관계 변인을 기술적으로 측정하는 데는 아직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가 소셜 공중 세분화에 대한 초기의 탐색적 연구이기에 향후에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분야에서 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들이 재검증 및 일반화를 위해서 요구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PR학회-
dc.title소셜 공중에 적합한 새로운 공중 세분화 이론: 페이스북 페이지의 소셜 네트워크 요인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New Approach to Public Segmentation Theory Suitable for Social Media Public-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현우-
dc.identifier.doi10.15814/jpr.2014.18.3.39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홍보학연구, v.18, no.3, pp.394 - 429-
dc.relation.isPartOf홍보학연구-
dc.citation.title홍보학연구-
dc.citation.volume18-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394-
dc.citation.endPage429-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904561-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소셜 공중 세분화-
dc.subject.keywordAuthor소셜 네트워크-
dc.subject.keywordAuthor관계-
dc.subject.keywordAuthor중앙성-
dc.subject.keywordAuthor소셜 네트워크 분석-
dc.subject.keywordAuthorNodeXL-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public segmentation-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network-
dc.subject.keywordAuthorcentrality-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Network Analysis-
dc.subject.keywordAuthorNodeXL-
dc.identifier.urlhttps://www.earticle.net/Article/A23172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yun Ou photo

Lee, Hyun Ou
COLLEGE OF COMMUNICATION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