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건강 관련 행동의 예측을 위한 사회인지이론의 유용성 국내 건강신념모델 연구의 메타분석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edict Health Behavior A Meta-Analysis on the Health Belief Model Studies in Korea

Other Titles
An Efficacy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Predict Health Behavior A Meta-Analysis on the Health Belief Model Studies in Korea
Authors
이병관손영곤이상록윤문영김민희김채린
Issue Date
May-2014
Publisher
한국PR학회
Keywords
health belief model; health related behavior; meta-analysis; effect size; 건강신념모델; 건강 관련 행동; 메타분석; 효과크기
Citation
홍보학연구, v.18, no.2, pp.163 - 206
Indexed
KCI
Journal Title
홍보학연구
Volume
18
Number
2
Start Page
163
End Page
20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5010
DOI
10.15814/jpr.2014.18.2.163
ISSN
1229-2869
Abstract
본 연구는 건강관련 행동에 있어서 개인의 의사 결정과정을 설명하는 사회인지적 이론인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을 적용한 국내 연구들에대한 메타분석이다. 이를 위해 2013년까지 국내 주요 학술지에 등재된 54편의개별 연구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였다. 건강신념모델은 건강행동 변량의 24.5%와 행동의도 변량의 25.0%를 설명하고 있었다. 메타분석 결과, 건강행동과 행동의도 모두 지각된 장애를 제외한 건강신념모델의 모든 변인들(지각된 개연성,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지각된 장애의 경우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건강행동과 행동의도와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데 비해 다른 건강신념변인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고 있었다. 메타분석 결과 개별 연구들 간에 이질성을 보여 행동유형(검진, 예방행동, 환자역할 행위), 측정, 연구 대상 등에 따른 중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신념모델을 구성하는 요인의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건강신념모델이여전히 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한 모델이라는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본 메타분석결과가 갖는 함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Byoung kwan photo

Lee, Byoung kwan
COLLEGE OF COMMUNICATION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