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차내 보행자 충돌 경고정보시스템 효과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Methodology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In-vehicle Pedestrian Warning Systems Using a Driving Simulator

Other Titles
Methodology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In-vehicle Pedestrian Warning Systems Using a Driving Simulator
Authors
장지용오철
Issue Date
Apr-2014
Publisher
대한교통학회
Keywords
collision speed; driver’s reaction behavior; in-vehicle pedestrian warning systems; pedestrian injury severity; safety benefits; 충돌속도; 운전자 반응특성; 차내 보행자 충돌 경고정보시스템; 보행자 상해심각도; 교통안전효과
Citation
대한교통학회지, v.32, no.2, pp 106 - 118
Pages
13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교통학회지
Volume
32
Number
2
Start Page
106
End Page
11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5031
DOI
10.7470/jkst.2014.32.2.106
ISSN
1229-1366
2234-4217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차내 보행자 경고정보 제공유무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특성을 분석하고 충돌속도를 이용해 보행자 상해심각도를 산출하여 시스템의 교통안전효과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운전자 반응특성 분석을위해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피험자별 주행특성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시나리오는 보행자-차량 사고유형에따라 2개의 시나리오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Mid-block내의 보행자 무단횡단, 길가장자리구역의 보행자 통행 상황에서 경고정보 제공 전․후로 충돌속도는 위험운전자 그룹이 54%, 25% 감소하였고, 일반운전자 그룹은 26%, 33%감소하였다. 경고정보 제공 전․후의 충돌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한 보행자 사망확률은 보행자 무단횡단과 길가장자리구역의 보행자 통행 상황에서 경고정보 제공 전․후로 위험운전자 그룹이 95%, 30% 감소하였고, 일반운전자 그룹은 80%, 8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운전자 반응특성 평가지표 및 충돌속도에 따른 보행자 상해심각도를 산출하여 시스템의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론은 향후 보행자-차량 간의 사고예방을 위한 기술 또는시스템의 교통안전효과를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vehicle pedestrian warning systems. Driving Simulator-base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to represent driver’s responsive behavior. The braking frequency, lane change duration, and collision speed were used as measure of effectiveness (MO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Collision speed data obtained from the simulation experiments were further used to predict pedestrian injury severity. Result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warning information systems by reducing the pedestrian injury severit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ology and outcomes will be useful in developing various vehicular technologies and relevant policies to enhance pedestrian safety.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OH, CHEOL photo

OH, CHEOL
ERICA 공학대학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