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TV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동시사용 화면구성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 of Smart TV -Focus on Multi view Display-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 of Smart TV -Focus on Multi view Display-
- Authors
- 오영미; 노승관
- Issue Date
- Sep-2013
- Publisher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 Keywords
- Smart TV; Convergence; Multi View Display
- Citation
- 디자인지식저널, v.27, pp 135 - 144
- Pages
- 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디자인지식저널
- Volume
- 27
- Start Page
- 135
- End Page
- 14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29690
- DOI
- 10.17246/jkdk.2013..27.013
- ISSN
- 2092-7045
- Abstract
-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앱(APP)이 설치되어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TV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사용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컨버전스 기기로서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는 TV 시청을 하는 동안 다른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지만 스마트TV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시화면 구성방식을 연구하였다연구는 네 가지 동시사용 화면을 설계하여 사용성이 높은 스마트 기능 별로 선호하는 방식을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는 TV 시청 시 16:9 화면을 선호했고 매거진형은 모든 기능에서 선호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웹과 소셜 앱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절반을 가득 채우되 TV 화면은 16:9 비율을 유지하는 와이드·매거진 혼합형이 가장 선호되었다. 쇼핑과 게임 앱은 동일한 크기의 16:9 비율로 구성되는 와이드 동일형이 가장 선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동시화면 선택방식과 동시사용이 선택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동시화면 선택 순서를 제시하였다.
스마트TV의 화면 크기, 스마트TV에 부여된 다양한 기능을 고려하면 동시사용 화면 구성에 대한 요구는 높아질 것이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사용성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고 더욱 다양한 화면 구성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요구에 부합하는 화면 구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As a convergence device which offers variable function, Smart TV offers various services, therefore it can meet various demands by users. Smart TV is a platform as well as image media and provides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at the same time. However Smart TVs in the market now do not offer multi-function system on one screen except selecting Smart Function or using SNS. On this, the study researches the multi view display system that offers various functions on one screen. The study used a method to draw a preference of each smart function of high usability, by designing the four types of multi-function screen. As a result, users preferred 16:9 screen when they watch TV and ‘Magazine type’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in every function. In case of web and social app, ‘Wide·Magazine Mix type’ was the most preferred. In case of shopping and game app, ‘Dual-Wide type’ was the most preferred. On this, the study proposed a selecting order of multi-screen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when multi-screen selecting method and multi-use were chosen. Considering the screen size of Smart TV and various functions in Smart TV, demands for multi-use screen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erefore, a follow-up study needs to provide a screen composition interface that meets user’s demand by measuring the usability more accurately and proposing a broader range of screen type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