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환경에 나타난 섬유예술에 관한 연구A Research on Fabric Art In Public Environment
- Other Titles
- A Research on Fabric Art In Public Environment
- Authors
- 양진숙; 이성이
- Issue Date
- Jun-2013
- 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Keywords
- Public Art(공공예술); Environmental Moulding(환경조형물); Fiber Formation(섬유조형); Textile Art(섬유예술); Urban Environment(도시환경)
- 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19, no.2, pp.248 - 26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Volume
- 19
- Number
- 2
- Start Page
- 248
- End Page
- 26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0073
- ISSN
- 1598-6497
- Abstract
-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점점 잃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최근 아름다운 주변, 도시공간을 만들기 위한하나의 일환으로 공공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작가들은 삭막한 도시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여러 재료를 활용한 조형물을 설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 인간과 가장 밀접하게 사용되는 섬유재료를 활용하여 공공예술로 승화시킨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섬유조형의 영역을 확대하고 부드러운 섬유가 공공예술을 통하여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예술에서 나타난 섬유조형에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공공예술에 나타난환경 조형물들을 조사, 연구하여 섬유조형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조형물은 그 형태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다양한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으며예술성만을 나타내는 조형물을 포함하여 랜드마크(Land Mark)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장식물 까지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섬유를 이용한 공공조형물에 있어 다양한 섬유재료와 더불어 유리, 나무, 플렉시, 악어보드 디스크 등 또다른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자연 공간, 건물, 도시의 외부공간, 내부공간 등을 포장하거나, 공공의 장소를 보다 더 따뜻하고 재미있고 품격 있는 공간으로조성하고 있었다.
공간을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으로 나누어 섬유예술을알아본 결과, 실외공간은 주로 거대한 조형물 위주로표현되며, 실내공간은 대부분 빛과 그림자를 활용하여안정감을 연출하는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이렇듯 공공예술에 섬유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재미있고 획기적이고 상상을 초월한 표현들이 공공예술에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섬유조형예술의 영역을 더욱 확장시키는 공공예술에 대한 연구가 더욱더 필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JEWELRY & FASH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