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N-스크린 유료 서비스 이용의도 결정요인Determinants of Intention to Use N-Screen Service among College Students
- Other Titles
-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Use N-Screen Service among College Students
- Authors
- 백형근; 전범수; 이정기
- Issue Date
- Jan-2013
- Publisher
- 한국방송학회
- Keywords
- N-스크린; 기술수용모델; 혁신; 사회적 영향력; 비용 인식; N-Scree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ocial Influence; Perceived Cost
- Citation
- 한국방송학보, v.27, no.1, pp 94 - 130
- Pages
- 37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방송학보
- Volume
- 27
- Number
- 1
- Start Page
- 94
- End Page
- 13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0510
- ISSN
- 1229-0254
- Abstract
- 이 연구는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이라는 기술수용모델을 구성하는 핵심 변수 이외에 혁신성, 사회적 영향력(사회적 이미지, 주관적 규범), 비용(비용 합리성, 비용 민감성) 변인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함으로써 N-스크린 유료서비스 결정요인을 탐색 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결과 인지된 유용성, 사회적 이미지와 인지된 비용 합리성 인식은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비용 부담감 인식은 이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규범, 혁신성, 인지된 비용 합리성 인식은 인지된 용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주관적 규범과 혁신성, 인지된 비용 합리성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매개되어 이용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possible factors to predict intention to use N-screen servi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follows: firstly, perceived cost and cost burde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 had th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followed by innovativeness, perceived cost and cost burden. Secondly,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intention to use N-screen service. Thirdly, social imade had the biggest impacts on intention to use. Overall, the external factors had more impacts on perceived ease of use than that of perceived usefulnes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MEDIA & SOCIAL INFORMATICS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