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예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A Research on the Expression Method of Conceptual Art in Textile Art
- Other Titles
- A Research on the Expression Method of Conceptual Art in Textile Art
- Authors
- 양진숙; 이성이
- Issue Date
- Dec-2012
- Publisher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Keywords
- 개념미술; 섬유예술; 아이디어; 반 미학; 미니멀아트; 플럭스; Conceptual Art; Textile Art; Idea; Contrary Aesthetic; Minimal Art; Flux
- Citation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18, no.4, pp.248 - 26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Volume
- 18
- Number
- 4
- Start Page
- 248
- End Page
- 261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4299
- ISSN
- 1598-6497
- Abstract
- 개념미술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개념미술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개념미술의 역사와 개념미술에 있어서의표현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섬유예술에서나타난 개념미술 작품을 조사, 연구하여 표현방법에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섬유예술 또한 개념미술가들이 제시한 다섯가지의 표현방법으로 구분되어 표현되어 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섬유예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표현연구에 있어서첫째, ‘레디메이드’를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평소 생활에서 사용하던 물건들을 전시장에 옮겨다 놓음으로써 우리가 사용하던 물건에 담겨있는 의미를 내면적상징성으로 표현하고자 하며, 하찮은 일상적 물건도작품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둘째, ‘개입’을 활용한표현에서는 자기가 경험한 세계를 천으로 만들어 어떤 공간에 개입시켜 놓음으로써 작가의 경험이 관람자의 간접경험에 의해 재해석되는 시각적 전환을 불러일으킨다. 셋째, ‘자료 형식’을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혹은 이미 잊혀진 자료들을 통해 사회적 고발이나 경고, 종교적 메시지 등을 전달함으로써 자료까지도 섬유예술을 표현하는 자료로 확장시키고 있다. 넷째, ‘언어 매체’를 활용한 표현에서는. 의복이나 가방 등에 의도된 글을 사용함으로써 일상복을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키거나, 작가의 의미를 일상에 내재시킨다. 다섯째, ‘행위과정’을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천을 건물의 일부에설치하거나, 천으로 공공건물을 포장, 설치하는 등의행위 과정을 통하여 개념적 작가 의식 및 상징성을표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여러 작품을 통하여 논쟁이 되고 있는 개념미술 작업들은 현 시대에도 계속해서 더욱 더 충격적이고 이해하기 힘든 모습들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특히 섬유예술 분야에서도 사회에 대한 인식의 재발견과 내면에 흐르고 있는 의식의 발현을 개념미술이라는 형식을 빌어 견인하는 역할을 상당부분 하고 있음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섬유예술에서의 개념미술 확장을 위하여 기초적 연구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JEWELRY & FASH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