돔구장, 약인가? 독인가?:미디어에 나타난 돔구장 건설 관련 사회적 담론 분석Domed Stadium, Medicine or Poison? An 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the Construction of a Domed Stadium Produced in the Media
- Other Titles
- Domed Stadium, Medicine or Poison? An Analysis of Social Discourse on the Construction of a Domed Stadium Produced in the Media
- Authors
- 박재우
- Issue Date
- Jul-2012
- Publisher
- 한국콘텐츠학회
- Keywords
- 돔구장; 사회적 담론; 야구발전; 미디어; A Domed Stadium; Social Discourse; Baseball Development; Media
- Citatio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2, no.7, pp 378 - 393
- Pages
- 1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Volume
- 12
- Number
- 7
- Start Page
- 378
- End Page
- 39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057
- DOI
- 10.5392/JKCA.2012.12.07.378
- ISSN
- 1598-4877
2508-6723
- Abstract
- 본 연구는 십 수 년 간 언론매체를 통해 돔구장 건설 관련한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또 재생산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신문을 중심으로 한 언론매체들이 돔구장과 관련하여 그동안 어떠한 사회적 담론을 구성했는지를 과정적 맥락적인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돔구장과 관련된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논리적인 이해와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의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돔구장 건립을 찬성하고 지지하는 ‘찬성’담론이 형성되었다. 여기에서 가장 핵심적인 담론은 야구발전과 중흥을 염원하는 ‘야구계의 숙원사업’, 그리고 도시 이미지 제고와 지역경제 발전으로 대변되는 ‘돔구장 건설의 경제적 효과’였다. 두 번째로 돔구장 건설을 반대하고 비판하는 ‘반대’ 담론이 형성되었다. 반대담론의 중심에는 ‘사업절차의 투명성 부족’과 ‘수익 타당성 부재’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았다. 돔구장 건설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대립구도 속에서 세 번째로 민․관이 ‘소통’과 ‘참여’를 통해 야구장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거버넌스 담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a social discourse on the construction of a domed stadium produced in the media. In particular, the article sought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building of a domed stadium by looking at how media sources with newspapers as the central source of information have produced and formed social discourses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a domed stadium. In a concluding perspectiv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aspects of social discourses have been produced and formed. First, a ‘approval’ discourse supporting the building of a domed stadium has been produced and formed. Second, a ‘opposite’ discourse criticizing it has been produced and formed. Third,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approval and opposition of the building of a domed stadium, a ‘governance’ discourse, which the construction of a domed stadium should be solved ration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involvement of the private and governmental sectors, has been produced.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SPORTS AND ARTS > MAJOR IN SPORT CULTUR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