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ASMR 청각 자극에 대한 뇌파 및 주관적 감성 반응EEG and subjective response to ASMR stimuli

Other Titles
EEG and subjective response to ASMR stimuli
Authors
이재찬김혜솔김동준임성균김정룡
Issue Date
Feb-2019
Publisher
한국HCI학회
Keywords
ASMR; EEG; Affective; Relaxation
Citation
Proceeding of HCI Korea 2019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15 - 18
Indexed
OTHER
Journal Title
Proceeding of HCI Korea 2019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Start Page
15
End Page
1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2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ASMR 사운드에 따른 주관적 감성반응과 뇌파 반응을 통해 청각 자극에 의한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참가자에게 총 12 가지의 ASMR 음원을 각 2 분동안 들려주었으며 뇌파 측정과 주관적 감성 평가를 위한 이완-긴장, 불쾌-쾌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뇌파는 F3, F4, T3, T4, P3, P4, O1, O2 영역의 총 8 개 채널을 측정하였으며 각 음원은 후기 40 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채널의 이완/긴장지표를 산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각 채널의 이완/긴장 지표와 이완/긴장 설문조사 및 불쾌/쾌 감성 설문조사 결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긴장/이완에 유의미하게 나타난 예측자 뇌파 채널은 P4, O1 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77.3%로 나타났다. 불쾌/쾌에 유의미하게 나타난 예측자 뇌파 채널은 F3, F4, P4, O1 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장 이완되는 음원은 ‘장작 타는 소리’, ‘비 내리는 소리’로 나타났으며, 가장 긴장되는 음원으로 ‘남성이 속삭이는 소리’, ‘여성이 속삭이는 소리’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ASMR 음원에 대한 집단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집단에 대한 청각 자극의 효과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PUTING >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UNG YONG photo

KIM, JUNG YONG
COLLEGE OF COMPUTING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