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브랜드에 나타난 유형별 콜라보레이션 사례연구A Case Study on Type of Collaboration in Fashion Brand
- Other Titles
- A Case Study on Type of Collaboration in Fashion Brand
- Authors
- 엄경희; 최유미
- Issue Date
- Jan-2012
- Publisher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 Keywords
- Fashion Brand Collaboration; Brand Alliance; Strategic Alliance
- Citation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12, no.1, pp 133 - 144
- Pages
- 1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Volume
- 12
- Number
- 1
- Start Page
- 133
- End Page
- 14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5828
- DOI
- 10.17280/jdd.2012.12.1.014
- ISSN
- 1598-2319
- Abstract
- 현대 패션브랜드는 급변하고 있는 소비 트렌드 환경에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 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세계적 패션브랜드들은 성공적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펼치고 있으나, 한국의 패션업계에서는 전략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인터넷 자료조사를 통해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국내 패션브랜드의 세계시장 진출 전략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콜라보레이션의 정의와 특성 및 유형을 고찰하였으며, 최근 눈에 띄는 세 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패션브랜드와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은 동종업계 콜라보레이션으로 고객층의 확대, 유통, 홍보 네트워크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었으며 H&M, 유니클로 등 세계 대표적 스파브랜드들이 진행하고 있는 명품브랜드와의 성공적 콜라보레이션에 비해 국내의 경우 전략적, 계획적, 지속적 발전이 요구되었다. 둘째, 패션브랜드와 아트의 콜라보레이션은 패션상품과 예술과의 콜라보레이션 유형으로, 국내에는 전시위주로 조금씩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국외 성공사례를 보면 아티스트의 고품격이미지와 영속성을 전이하여 패션브랜드 이미지가치를 상승시켜 소비자에게 재인식시키는 등 폭넓은 마케팅효과를 누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패션브랜드와 스타의 콜라보레이션은 스타의 쌓여진 명성, 분위기, 라이프 스토리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국내외 사례들 모두 스타의 스토리텔링으로 고객의 공감을 얻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었으나 국내의 경우는 홍보모델로 활용되는 수준에 그쳐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국내 패션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니즈 충족과 세계시장으로의 성공적 진출을 위해서는 유수의 해외 패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한국의 문화와 아트를 활용한 콜라보레이션, 한류열풍과 동반한 스타의 적극적 콜라보레이션 참여 등 새롭고 창의적인 전략과 활용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유형별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을 토대로 국내 패션브랜드 이미지 마케팅 전략의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With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modern fashion brands are asked to plan a new strategy for brand images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s. While some world’s renowned fashion brands are successfully implementing their collaboration strategies, the Korean fashion industries haven’t conducted enough strategic studies. Thu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ffer various collaboration cases shown in the fashion brands that were found by internet and literature researching so the Korean fashion industry can use them as references when advancing into the world’s market.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feature, and type of collaborat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were researched. The three types of collaboration that have been outstanding recently were chosen to analyze cases of the collaboration in fashion br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for the Korean fashion brands and successfully advance into the global market, creative and new strategies as well as utilization of those collaboration works such as the collaboration with famous overseas fashion brands, using the Korean art and culture, and Korean wave celebrities will be needed. It is expected that systemic researches of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image of Korean fashion brands will be continued based on the case study of the types of collaboration in fashion brands shown in this study.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JEWELRY & FASH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