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申維翰의 海遊錄 재론·Ⅰ — 朝日 필담창수 자료 대비를 중심으로open access申維翰の海遊錄の再論·Ⅰ

Other Titles
申維翰の海遊錄の再論·Ⅰ
Authors
고운기
Issue Date
Dec-2011
Publisher
열상고전연구회
Keywords
己亥使行; 申維翰; 海遊錄; 蓬島遺珠; 客館璀粲集; 木下蘭皐; 朝比奈玄洲; 名古屋; 己亥使行; 申維翰; 海遊錄; 蓬島遺珠; 客館璀粲集; 기노시타 난고(木下蘭皐); 아사히나 현주(朝比奈玄洲); 나고야(名古屋)
Citation
열상고전연구, no.34, pp.5 - 34
Indexed
KCI
Journal Title
열상고전연구
Number
34
Start Page
5
End Page
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8759
DOI
10.15859/yscs..34.201112.5
ISSN
1738-2734
Abstract
己亥使行은 그동안 申維翰의 『海遊錄』을 제외하면 그다지 주목 받지 못하였다. 18세기 초에 이르러 朝日關係가 안정을 보이고, 비록 조선에서는 小中華意識이 고착되어 가는 시점이나, 신유한의 ‘순수한 관찰자적 시점’이 획득된 사행이 기해년이었다. 『해유록』은 그 같은 신유한의 현재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신유한의 보고인 『해유록』만 아닌, 일본 쪽에서의 기록 곧 『蓬島遺珠』와 『客館璀粲集』같은 책을 통해 그의 사행이 가진 의의를 다시 살필 필요가 있다. 뒤의 두 책은 기해 사행단이 나고야에 머문, 에도로 향하던 길의 9월 16일과 돌아가는 길의 10월 25일 밤을 그리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해유록』에 남기지 않은 신유한의 시와 산문을 두 책에서 찾아 처음으로 소개하며, 신유한의 나고야 滯在와 그 의의를 재구하였다. 신유한은 기해 사행 길에 나고야에서 이틀 밤을 묵었다. 그러나 에도로 가는 길에 머문 하룻밤은 와병으로 필담다운 필담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돌아오는 길의 단지 하룻밤이 그를 상대한 館伴으로 하여금 각각 한 권의 책을 낼 만큼의 깊은 인상을 남겼다. 밤 새워 나눈 시와 이야기, 이별을 슬퍼하고, 알건 모르건 사행단과 관반 사이에 인사를 나누는 마무리—아침 해가 떠오르자 ‘꿈에서 막 깬 듯하였다’는 하룻밤 밤샘의 경험은 사행의 정치적 굴레와 상관없이, 문사의 자유롭고 感慨스러운 교류 속에 얻은 어떤 문화적 만남의 극점처럼 보인다. 신유한은 신유한대로, 館伴은 그들대로 각자 겪은 사행의 일을 자신의 관점에서 적었다. 확대와 축소가 교차한다. 모르긴 해도 그것은 주변의 눈을 의식한 결과일 것이다. 우리는 거기서 생긴 그들의 겉과 속을 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文士間의 의기투합은 文士만의 특권이었다. 아침 햇빛에 빛나는 황홀한 꿈이었다. 여기서 18세기 朝日 사이에 만들어진 하나의 문화적 풍경을 읽을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 Woon Kee photo

Ko, Woon Kee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