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杜谷 高應陟의 시조에 관한 고찰A Study on the Doogok(杜谷) Ko, Eung-cheok(高應陟)'s Sijo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oogok(杜谷) Ko, Eung-cheok(高應陟)'s Sijo
Authors
김상진
Issue Date
Jul-2011
Publisher
한국시조학회
Keywords
두곡 고응척; 가곡; 시조; 『대학』; 교술성; 형식; 구조; 언어 표현; Doogok(杜谷) Ko; Eung-chuk(高應陟); Kagok(歌曲); 『Daehak(大學)』; Sijo(時調); Gyosulseong(敎述性). Formality; Structure; Expression of language
Citation
시조학논총, no.35, pp 95 - 122
Pages
28
Indexed
KCI
Journal Title
시조학논총
Number
35
Start Page
95
End Page
12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38888
ISSN
1226-2838
Abstract
이 논문은 두곡 고응척의 가곡, 즉 시조의 작품론이다. 16세기 후반 문인인 고응척은 28수의 시조를 창작하여 당대 문인으로서는 꽤 많은 시조를 후세에 남겨놓았다. 시조를 학문의 연장선으로 생각하는 것은 그 시기 문인들의 일반적인 현상이긴 했지만, 고응척은 이러한 정신이 더욱 뚜렷하였다. 성리학의 道脈을 이어가는 그는 유교 경전 중에서도 특히 『大學』에 심취하였고, 이러한 성향은 시조로 그대로 표현되었다. 따라서 그의 시조 또한 『대학』을 중심으로 한 經典의 내용을 노래하고 있다. 문학연구의 중요한 핵심은 작품을 옳게 파악하는데 있다. 교술성이 강한 고응척의 시조는 작가가 자신의 의도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표현했느냐가 중요한 관건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시조에 나타난 표현방식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것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 된다. 형식, 구조, 언어표현이 그것이다. 즉 시조 형식을 택함에 있어서 단형의 평시조 이외에 사설시조, 연시조의 형식으로 다양화 하였다. 구조는 對句를 통한 병렬구조를 자주 사용하였다. 언어표현은 두 가지로 구체화 되는데, 첫째는 한자어 대신 우리의 고유어를 자주 사용한다는 것이며 둘째는 동일어휘를 반복하는 점이다. 즉 종장 첫구에서 ‘진실로’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요컨대 고응척은 시조로써 『대학』을 비롯한 경전의 가르침을 전파하고자 하였다. 시조로써 학문을 표현하는 이러한 모습은 당대의 문인들에게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기도 하다. 그 중 고응척은 시조의 교술성에 좀 더 큰 비중을 두었다. 아울러 다양한 표현법으로 전달의 효용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theory on works of Doogok(杜谷) Ko, Eung-chuk(高應陟)'s Kagok(歌曲), namely Sijo. Ko, Eung-cheok is scholar of 16th century latter part. And creative was Sijo of 28. This was when the authors at that time and comparing, very to create many Sijo. The 16th century scientists were commonly thought that Sijo to think of as an extension of the study. He thought this was more clear. He was seriously the Confucian scriptures. Because he had inherited the spirit of Neo-Confucianism, Daehak(大學) also pointed to the best of them. So in his Sijo, Daehaka lot of the content of the themed works. The core work of literary studies is to analyze the work properly. His works have a strong Gyosulseong(敎述性). So, it is important to the expression of Ko-Eungcheok's Sijo. Therefore, this article appeared in the Sijo of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expression. This will categorize into three types. It's formality, structure, and an expression of language. The namely Sijo formats diversification did with Pyungsijo(평시조) and Saseolsijo(사설시조), Danhyungsiso(단형시조) and Yeonsijo(연시조). The structure was used frequently in parallel structure. Language expression was represented in two ways. The first is the use of Korean languages. The second is a repetition of the same vocabulary. In short, Ko, Eung-cheok preached by Sijo, that is Daehak and the teachings of the scriptures. And this time it was a universal phenomenon. However, he was more actively expressed. So, he used a variety of representations.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