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강남역 미디어폴에 관한 연구: 소비자 태도와 이용행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성욱-
dc.date.accessioned2021-06-23T13:41:40Z-
dc.date.available2021-06-23T13:41:40Z-
dc.date.issued2010-12-
dc.identifier.issn1975-9053-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01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강남역 미디어폴의 등장과 동시에 매체측면에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디어폴이 강남역의 랜드마크가 되면서 소비자에게 주목률이 높고 광고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폴에 대해 적합한 크로스미디어 전략과 제품군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미디어폴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폴과 다른 매체들을 동시에 고려한다면 지상파 TV (65.8%), 인터넷 (61.6%) 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디어폴를 통해 적합한 제품군을 알아보았는데 통신/가전 제품에서는 휴대폰이동통신 (44%), 개인가전 (26%) 등이 높게 나타났다. 생활용품은 의류잡화(52.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샴푸린스, 기초화장품 등이 29.7%, 32.6% 정도 나타났다. 외식/유통은 베이커리/패스드푸드/아이스크림/커피 등이 60.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성과 미디어폴 태도에 관한 관계에서 참여성을 제외한 통제성, 개인화 등이 미디어 폴 매체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표준화계수를 통해 개인화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고가치와 미디어폴 태도에 관한 관계에서는 오락성만이 미디어 폴 매체 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미디어폴 매체가 앞으로 더욱 발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media pole in terms of media value. As media pole becomes a landmak of Kang-Nam station area, it is expected that media pole has a higher attention rate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refore, what media is appropriate for media pole in cross- media strategy is examined.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sumer's attitude and use toward media pole. Fin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dia pole is matched with TV advertising and Internet advertising in terms of cross media strategy. Second, Telecom and electronic product have better be advertised with media pol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pole and a product. Third, control and personification under interactivity have an impact on attitude toward media pole. Fourth, entertainment under advertising value have an impact on the attitude toward media pole. Media pole have a potential to be developed further in the future.-
dc.format.extent25-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OOH광고학회-
dc.title강남역 미디어폴에 관한 연구: 소비자 태도와 이용행태-
dc.title.alternativeThe Study on Consumer's Attitude and Use toward Media Pole at Kang-Nam Area-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OOH광고학연구, v.7, no.4, pp 187 - 211-
dc.citation.titleOOH광고학연구-
dc.citation.volume7-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87-
dc.citation.endPage211-
dc.identifier.kciidART00151270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Candi-
dc.subject.keywordAuthor미디어폴-
dc.subject.keywordAuthor디지털 사이니지-
dc.subject.keywordAuthor효과-
dc.subject.keywordAuthorMedia-Pole-
dc.subject.keywordAuthorDigital Signage-
dc.subject.keywordAuthorEffectiveness-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615165-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m, Sung Wook photo

Shim, Sung Wook
ERICA 커뮤니케이션&컬처대학 (ERICA 광고홍보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