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NHMM 기반 토양함수 모의결과를 이용한 합성가뭄지수 개발A development of multivariate drought index using the simulated soil moisture from a GM-NHMM model
- Other Titles
- A development of multivariate drought index using the simulated soil moisture from a GM-NHMM model
- Authors
- 박종현; 이주헌; 김태웅; 권현한
- Issue Date
- Aug-2019
- Publisher
- 한국수자원학회
- Keywords
- Soil Moisture; Copula; Drought Index; NHMM; 토양수분; 코플라 함수; 가뭄지수; 비동질성 은닉 마코프 모형
- Citation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v.52, no.8, pp 545 - 554
- Pages
- 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 Volume
- 52
- Number
- 8
- Start Page
- 545
- End Page
- 55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080
- DOI
- 10.3741/JKWRA.2019.52.8.545
- ISSN
- 1226-6280
2287-6138
- Abstract
- 가뭄평가 시 단일 수문인자를 활용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가뭄의 출현, 심도 및 지속기간 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가뭄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단일인자로 가뭄을 평가하는 경우 불확실성 및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수문기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가뭄지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 및 토양수분을 이용하여 가뭄을 평가하고자 은닉 마코프 모형(Hidden Markov chain Model)기반의 토양수분 모의기법을 통해 과거(1973-2014년) 토양의 수분함량을 모의하였으며, Copula 함수를 활용하여 강우량과 토양수분을 동시에 고려한 합성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토양수분산정 모델은 다중 회귀 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를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를 고려하여 이변량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변량 빈도해석결과 2015년 전라북도 지역에 발생하였던 가뭄은 약 20년의 재현기간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most drought assessments are based on a drought index, which depends on univariate variables such as precipitation and soil
moistur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representing the drought conditions with single variables due to their complexity. It has been
acknowledged that a multivariate drought index can more effectively describe the complex drought state.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 a Copula-based drought index that can jointly consider precipitation and soil moisture. Unlike precipitation data, long-term soil
moisture data is not readily available so that this study utilized a Gaussian Mixture Non-Homogeneous Hidden Markov chain Model
(GM-NHMM) model to simulate the soil moisture using the observed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ranging from 1973 to 2014. The
GM-NHMM model showed a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reproducing key statistics of soil moisture, compared to a multiple
regression model. Finally, a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drought duration and sever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ent droughts over Jeollabuk-do in 2015 have a 20-year return period.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