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IoT 스마트 디바이스의 서비스 사용성 연구A Study on the Service Usability of IoT Smart Device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rvice Usability of IoT Smart Devices
Authors
송지성강송희
Issue Date
Jun-201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Internet of Thing(IoT:사물인터넷); Smart Device(스마트 디바이스); Service Usability(서비스 사용성)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5, no.2, pp 327 - 336
Pages
1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5
Number
2
Start Page
327
End Page
33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35
DOI
10.18208/ksdc.2019.25.2.327
ISSN
1598-6497
Abstract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빅 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엣지 클라우드 등의 최신 기술과의 접목으로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등과 같은미래 IT 사회를 구현할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IoT 시스템 분야 많은 연구들에서 IoT 오픈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유형별로 나누고 사용성 측면에서 비교분석 하였으며 제이콥닐슨(Jakob Nielsen)의 10가지 평가 항목에 대표적인 IoT 스마트디바이스를 대입하여 3가지 이상 교집합 된 정확성, 효율성, 직관성, 접근성 4가지 주요항목을 도출하였다. 이에 주요 항목으로 도출된 4가지의 요소의 부족한부분을 분석한 결과 향후 본 연구 분석결과를 참고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성(정확성, 효율성, 직관성, 접근성)을 최적화되고 편리하게 일상생활에서 질 높은 개인 맞춤형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활용되어 향후 본 연구 분석결과를 참고하여 음성인식 AI(인공지능) 인터페이스로 융합된 IoT 디바이스인터페이스의 개발에 있어서 IoT시대의 미래와 개인맞춤형 스마트 디바이스 서비스의 보다 나은 발전에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목적이 있다. 단순한 텍스트입력방식이나 터치를 이용한 방법에서 벗어나 미래의인터페이스로 주목될 음성인식 AI(인공지능)와 다른인터페이스와의 융⋅복합적 서비스의 향후 방향과 가능성 및 시사점을 연구하였다. 인터페이스의 다각적인개발방안으로 첫째,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장에 가장중요 요인은 사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직관적으로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성이 필요하다. 둘째, 단순히 제품(스마트 디바이스)을 더 많이 판매하기 위한 수단이나 경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향후복잡하고 번거로운 단계를 거치는 텍스트 입력방식이나 시간을 지체하고 불편함을 주는 터치 및 제스처를 대체할 효과적인 인식성 높은 음성인식 인터페이스의다각적인 개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성인식 인공지능(AI)가 탑재된 스마트 스피커는 집안의IT허브로서 각종 음성인식 딥러닝 응용 서비스들이IT와 결합하여 활발히 개발되고 향후 기술이 발전하고 보편화 된다면 매우 편리하고 유용한 서비스의 가치가 높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음성인식 AI(인공지능) 인터페이스로 융합된 IoT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의 개발에 있어서 IoT 시대의 미래와 스마트 디바이스 서비스의 보다 나은발전에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Internet of Things have been established as a core technology to realize future IT society like smart factory in relation to state-of-art technology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cloud, and edge cloud. Reflecting these situations, many researchers in a IoT system field are trying to build up open Iot platform. This study divided smart devices which are similar to users’ needs into different type and category and analyzed the type by using 10 principles of serviceability assessment of Jacob Nielsen. Utilizing past studies and evaluation analysis, main items such as accuracy, recognition, efficiency, intuition, accessibility have been drawn. By putting this main 5 items into analysis result, usability of IoT smart devices has been analyzed. This study suggests characteristics and guideline for smart service by analyzing practicability and interpreting the efficiency.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mart device to grow is accessibility that users can use smart device intuitively. Second, multi-directional development plan for effective voice recognition interface should be provided which could substitute touch method which is inconvenient and time-consuming and text entry method which is complicated and annoying. Finally, many people will value smart speaker with voice recognition AI high as a IT herb in a home, if various voice-recognition deep learning application services are developed and generalized in relation to IT technology. Consequently, this research will shed light on the smart service with voice recognition IT interface, when it comes to developing IoT smart device interface, as a strategic guideline which is helpful for the future of IoT age and development of smart service.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I SUNG photo

SONG, JI SUNG
COLLEGE OF DESIG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