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연의 균형으로서 글쓰기 - 삼국유사 서술방법 연구 1 -一然と均衡としての書き込み

Other Titles
一然と均衡としての書き込み
Authors
고운기
Issue Date
Dec-2009
Publisher
열상고전연구회
Keywords
일연; 삼국유사; 균형; 균형 감각; 불교; 민간신앙; 一然、三国遺事、書き込み、均衡、均衡感覚
Citation
열상고전연구, no.30, pp.37 - 63
Indexed
KCI
Journal Title
열상고전연구
Number
30
Start Page
37
End Page
6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484
DOI
10.15859/yscs..30.200912.37
ISSN
1738-2734
Abstract
이 글은 일연과 그 글쓰기의 소산인『삼국유사』를 서술의 방법론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첫 시도이다. 이에 대한 전제로 여기서는 먼저 일연의 균형의 감각을 살펴보았다. 대상과 사건에 대한 균형의 유지를 일연은 전면적으로 고민하였다. 이런 예의 하나는 불교와 민간신앙이 극심히 교차한 신라사회를 바라보는 일연의 시각에서 찾을 수 있다.『삼국유사』전편에 불교가 차지하는 비중은 다시 말할 필요조차 없지만, 신라를 온전히 그리자면 불교만으로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 또한 일연은 잘 알았다. 종착은 불교에 두고자 했으나 신라가 가진 민속종교의 여러 면을 담아두는 데 게으르지 않았고, 더러 그 둘 사이의 갈등과 다툼 속에서 신라만의 독특한 신앙양태가 절묘하게 살아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그의 균형 잡힌 글쓰기의 태도에서 나온 결과물이었다. 혁거세와 탈해의 출자(出自)가 민간 신앙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은연중에 밝혔으며, 연오랑과 세오녀의 전승은 민간의 비극적인 사건이 전설로 강화되어 간 것임을 놓치지 않았다. 드디어 불교와 민간신앙이 대립하는 현장에 서서, 그들이 맞닥뜨린 운명적 대결의 구도는 실로 신라가 거치지 않으면 안 될 통과의례임을 알았다. 이미 불교가 자리 잡은 신라 하대에 이르러서조차 왕이 찾아 나선 동서남북의 호국신을 불순한 것으로 쓰지 않았다. 다시 말하거니와, 이 같은 글쓰기는 그의 균형 감각으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o, Woon Kee photo

Ko, Woon Kee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