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VMS 메시지 판독시간 모형 개발open access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for VMS Message Reading Time

Other Titles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for VMS Message Reading Time
Authors
김태형오철
Issue Date
Sep-2009
Publisher
한국교통연구원
Keywords
Variable Message Sign(VMS); Message Reading Time; Regression Modeling; 가변전광표지; 판독시간모형; 다중회귀분석
Citation
교통연구, v.16, no.3, pp 29 - 40
Pages
12
Indexed
KCI
Journal Title
교통연구
Volume
16
Number
3
Start Page
29
End Page
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592
DOI
10.34143/jtr.2009.16.3.29
ISSN
1738-4028
Abstract
가변전광표지(VMS)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교통, 이벤트 및 교통규제의 상황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한 통행을 유도하는 등의 주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 구축된 VMS는 그 설치와 운영에 있어 차량운전자의 판독거리, 소실거리, 인지 가능 메시지 수, 정보당 판독시간 등 인간공학적 특성에 대한 적정한 연구 없이 설치․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별히 주행 중인 운전자들에게 VMS를 통해 표출되는 메시지 정보는 운전자들이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정 수준의 정보량을 적정 시간 동안 표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운전자의 VMS 메시지 판독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메시지 판독시간 및 변수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VMS 메시지의 적정 정보량 및 표출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VMS 메시지 판독시간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메시지 판독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로 속도, 정보단위, 성별, 연령 등을 선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발된 판독시간모형을 통하여 정보단위 및 연령이 증가할수록 판독시간이 조금씩 증가하며, 반대로 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판독시간모형은 운전자의 메시지 판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판독시간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VMS 메시지 현시 및 적정 정보량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Variable Message Sign (VMS)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Advanced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TIS) and is used to provide drivers with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incidents, congestion, and detours. It is essential that the scheme of VMS message phase and duration should be designed with the proper consideration of drivers’ message reading time, which that will depend on various causal factors, such as the number and length of VMS messages, drivers’ travel speed, and drive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extensiv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specially manufactured portable VMS to obtain drivers’ message reading time with respect to these causal factors. A 500-meter tangent segment having 4 lanes (2 lanes for each direction) was selected for field experiments at the Hanyang University in Korea.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undertaken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rivers’ message reading time and various causal factors. Regression model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develop an estimation model for drivers’ message reading time. The proposed methodology for determining VMS message reading time would be greatly useful for ITS designers and planners as they make decisions concerning optimum VMS message phase and duration.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OH, CHEOL photo

OH, CHEOL
ERICA 공학대학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