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이세신궁의 기원 -네 가지 학설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Origin of the Ise Shrine: The Four Theorie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Ise Shrine: The Four Theories.
Authors
박규태
Issue Date
Apr-2019
Publisher
한국종교학회
Keywords
이세신궁의 기원; 유랴쿠(雄略)천황조설; 덴무(天武)・지토(持統)천황조설; 몬무(文武)천황조설; 스진(崇神)・스이닌(垂仁)천황조설; Origin of Ise Shrine; Theory about the Era of Emperor Yuryaku(雄略); Theory about the Era of Emperor Tenmu(天武)・Jito(持統); Theory about the Era of Emperor Monmu(文武); Theory about the Era of Emperor Sujin(崇神天皇)
Citation
종교연구, v.79, no.1, pp 45 - 76
Pages
32
Indexed
KCI
Journal Title
종교연구
Volume
79
Number
1
Start Page
45
End Page
7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60
DOI
10.21457/kars.2019.04.79.1.45
ISSN
1226-3516
Abstract
현대사회의 맥락에서 종교연구의 이론적 진전은 종교에 대한 관찰과 분석의 범위를 지구사회 전체로 확장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 글은 지구화의 맥락에서 종교적 다원성의 구조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초적 전망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이다. 20세기의 주요한 사회과학적 종교이론들은 서구의 종교지형에 치중했을 뿐만 아니라, 국민국가 사회를 분석의 기본단위로 활용하면서, 세속적⋅합리적 근대화 패러다임에 인식론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넘어서기 위해, 21세기의 종교이론은 지구화가 초래하는 미증유의 종교적 복합성 전체를 조망하며 설명하도록 요청받는다. 이 글에서 필자는 현대의 종교적 다원성을 지구화로 인한 ‘종교’의 등장과 변형이 초래하는 것이며, 이는 분리할 수 있지만 서로 연결되어 동시적으로 나타나는 삼중적으로 구성된 현상으로 제시한다. 첫째, 역사적 지구화의 흐름은 ‘세속’을 종교로부터 분리하는 방식들을 만들어내며, 이는 ‘종교’라고 불리는 구별된 영역 또는 체계의 지구적 구성을 돕는다. 둘째, 현대 지구화의 진전은 국민국가 질서와 결탁된 ‘종교’의 경계를 넘나드는 개인적이고 감각적이며, 일상적이고 선택지향적인 ‘영적전환’을 추동한다. 셋째, 지구화로 인한 생활세계의 압축은 종교의 부흥, 공공종교 또는 탈세속 사회의 등장을 위한 비옥한 토양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구종교의 전망은 일련의 관련문제들을 만들어내면서, 지역의 상황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맥락화 된다. 미에(三重)현 이세(伊勢)시에 있는 이세신궁(伊勢神宮)은 천황가의 조상신 아마테라스(天照大神)를 제사지내는 신사이자 12만개소에 달하는 전국신사의 총본산으로 추앙받는 신사신도의 지성소라는 점에서 일본역사상 늘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유해왔다. 본고의 목적은 이와 같은 이세신궁 창건의 유래와 관련된 네 가지 설이 각각 제시하는 근거와 논리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의의와 한계 및 전망을 고찰하려는 데에 있다. 오늘날 이세신궁의 기원에 관한 일본 학계의 통설은 크게 유랴쿠(雄略)천황조설, 덴무(天武)・지토(持統)천황조설, 몬무(文武)천황조설로 나눌 수 있다. 그것들은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으나, 당초 이세의 지방신을 모시던 이세신궁이 『일본서기』의 전승보다 훨씬 후대에 황실의 조상신으로 전화되었다고 보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하지만 이런 통설에 대해 비판적인 신도학계에서는 주로 스진(崇神)・스이닌(垂仁)천황조설을 지지한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네 가지 설을 중심으로 특히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 『속일본기』(續日本紀), 『고어습유』(古語拾遺), 『연희식』(延喜式), 이세신궁측 문서인 『황태신궁의식장』(皇太神宮儀式帳)과 『지유기궁의식장』(止由気宮儀式帳) 및 『태신궁제잡사기』(太神宮諸雜事記), 이세신도의 대표적 문헌인 『왜희명세기』(倭姬命世記)와 『이세이소태신궁보기본기』(伊勢二所太神宮宝基本記) 등에 입각하여 이세신궁의 기원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The Ise Shrine located at Ise City(伊勢市) in the Mie prefecture(三重縣) is the highest Shinto shrine in which Amaterasu(天照大神), the ancestral Goddess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has been enshrined, as well as a sanctuary of Japanese Shinto which has been venerated as the chief center among all the Japanese Shinto shrines that amount to about one hundred and twenty thousand sites. Therefore, it has alway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authority and rationality of various discourses on the origin of the Ise Shrine, by considering meanings and problems. Nowadays general academic views on the origin of the Ise Shrin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or example, in spite of many differences in detail, among theories about the era of Emperor Yuryaku(雄略), Tenmu(天武)・Jito(持統), Monmu(文武) all share the fact that originally the Ise Shrine enshrined a local divinity which was changed into an ancestral goddess of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when a long time passed after the era of Nihonshoki(日本書紀)’s descriptions. However, Shintoists mainly support the theory about the Era of Emperor Sujin(崇神)・Suinin(垂仁), against such a general view. I will approach the issue of the origin of the Ise Shrine focusing on those four theories, especially based on old records such as Kojiki(古事記), Nihonshoki(日本書紀), Zoku-nihonki(續日本紀), Kougoshui(古語拾遺), Engishiki(延喜式), Koutaijingu-Gishikicho(皇太神宮儀式帳), Toyukegu-Gishikicho(止由氣宮儀式帳), Daijingu-hozoujiki(太神宮諸雜事記), Yamatohime-no-mikoto-seiki(倭姬命世記), Isenishodaijingu-houkihonki(伊勢二所太神宮宝基本記) etc.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 > DEPARTMENT OF JAPANESE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