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의류 선도매장(Flagship Store)에서의 브랜드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선-
dc.contributor.author한상필-
dc.date.accessioned2021-06-23T16:07:28Z-
dc.date.available2021-06-23T16:07:28Z-
dc.date.issued2009-05-
dc.identifier.issn1229-8778-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1649-
dc.description.abstract의류제품은 소비자 감정의 몰입이 높고 소비자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제품으로 체험 마케팅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선도매장에서 발생하는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의류 선도매장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체험유형과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의류 선도매장 브랜드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체험 마케팅에 있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을 높이는데 있어 어떤 체험 유형이 중요한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효율적으로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factors of experience type and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at consumers recognize from a brand at a flagship clothes store and to identify influence of experience type of a brand at a flagship clothes store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equity. Based on answers from total 342 persons, we identified experience type of a brand at a flagship clothes store and consumer-brand relational dimension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dentified which factors out of experience types of a brand prove a consumer-brand relationship better and also how it influences brand equit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c.format.extent19-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dc.title의류 선도매장(Flagship Store)에서의 브랜드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Influence of Experience Type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Equity at Flagship Store of Clothe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21074/kjlcap.2009.10.2.2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10, no.2, pp 209 - 227-
dc.citation.title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dc.citation.volume1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09-
dc.citation.endPage227-
dc.identifier.kciidART001344324-
dc.description.isOpenAccessY-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brand-
dc.subject.keywordAuthor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brand-
dc.subject.keywordAuthorexperiential marketing-
dc.subject.keywordAuthorbrand equity-
dc.subject.keywordAuthor브랜드-
dc.subject.keywordAuthor소비자-브랜드 관계-
dc.subject.keywordAuthor체험 마케팅-
dc.subject.keywordAuthor브랜드 자산-
dc.subject.keywordAuthorbrand-
dc.subject.keywordAuthor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nd brand-
dc.subject.keywordAuthorexperiential marketing-
dc.subject.keywordAuthorbrand equity-
dc.identifier.urlhttps://kscap.accesson.kr/v.10/2/209/1514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 > 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