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역의 접근성 지표를 활용한 순유발수요의 추정Estimation of Net Induced Demand with Accessibility Measure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Other Titles
- Estimation of Net Induced Demand with Accessibility Measure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Authors
- 김익기; 백은주
- Issue Date
- Feb-2008
- Publisher
- 대한교통학회
- Citation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58, no.2, pp.243 - 252
- Indexed
- OTHER
- Journal Title
-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 Volume
- 58
- Number
- 2
- Start Page
- 243
- End Page
- 25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2658
- Abstract
- 교통시설물의 공급이나 교통운영관리의 개선을 통해서 교통체증을 완화시킴에 따라 두 지점들 간의 접근성이 향상하게 되면, 변화 이전에 비해 통행량이 증가되는 현상이 현실에서 자주 관측되어진다. 이와 같이 교통개선에 의해 증가된 교통량을 일반적으로 유발수요(induced demand)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 정의의 유발수요를 좀 더 분류하면 전환유발수요(shift induced demand)와 순유발수요(net induced demand)로 구분할 수가 있다. 교통 환경의 변화로 인해 목적지의 전환, 교통수단의 전환, 경로의 전환, 출발시각의 전환 등의 다양한 전환유발수요가 발생할 경우, 일부 도로구간의 교통량에도 역시 변화가 생기게 되어 특정 도로구간의 유발교통량으로서 관측되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목적지 전환, 교통수단전환, 경로전환에 의해 전환된 유발수요는, 교통수요분석의 통행분포모형, 교통수단선택모형 그리고 노선배정모형을 통해 전환 변화된 교통량으로 추정되어 진다. 하지만 교통 환경이 개선되기 전까지는 현실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던 잠재적 통행이 교통 환경이 개선 된 후에 비로소 실제 통행으로 나타나게 되는 통행이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통행을 본 연구에서는 순유발수요라고 정의하였다. 순유발수요의 경우 전환수요와는 달리 시스템 전체의 총량적 통행량을 증가시키게 되는 통행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통행발생모형에서 전환유발수요와는 독립적으로 별도의 분석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가정이 위치한 교통존의 접근성 측정치를 변수로 포함한 통행발생모형을 구축하여 접근성 정도에 따른 통행발생량의 차이 즉 순유발수요의 차이를 분석할 것을 제안하였다. 접근성이 통행발생량에 대해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개념적 차원의 논의는 기존 연구에서도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진이 아는 범위에서는 접근성 지표를 활용하여 순유발수요 발생량으로 명확하게 구분하면서 실제적 관측 자료로 분석한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나 국외에서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002년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 속성별 평균적 통행발생량을 단위로 한 자료를 구축한 후에 접근성 지표 변수를 포함한 회귀분석 통행발생모형을 통행목적별로 정산(calibration)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현실의 관측 자료를 가지고 교통개선사업에 의한 접근성 향상이 순유발수요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지에 대해 검증하여, 현실의 교통정책분석에서 유발수요 반영 분석이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