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S기반의 모바일광고의 효과 및 수용성에 관한 실증연구The Study on the Response Rate of SMS-based Mobile Advertising Campaigns
- Other Titles
- The Study on the Response Rate of SMS-based Mobile Advertising Campaigns
- Authors
- 이경렬
- Issue Date
- May-2006
- Publisher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 Keywords
- SMS; Short Message Service; Mobile Advertising; Wireless Internet Advertising; WAP Advertising; SMS; 단문메시지서비스; 모바일광고; 무선인터넷광고; WAP광고; SMS; Short Message Service; Mobile Advertising; Wireless Internet Advertising; WAP Advertising
- Citation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v.14, no.2, pp 26 - 44
- Pages
- 19
- Indexed
- KCICANDI
- Journal Title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Volume
- 14
- Number
- 2
- Start Page
- 26
- End Page
- 4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45233
- ISSN
- 1598-4494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SMS기반의 모바일광고가 모바일 이용자들에게 일차적으로 노출된 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ARS 혹은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광고메시지에 접속하여 반응을 보이는 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2005년 1년 동안 실제 집행된 SMS광고캠페인의 수신건수 대비 반응건수를 나타내는 반응율을 분석하고, 이러한 반응율이 성별, 연령별, 그리고 제품군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 389개 SMS광고캠페인들의 반응건수를 수신건수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반응율은 평균 3.5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한 SMS기반의 모바일광고에 대한 반응율에 대하여 성별 및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SMS기반의 모바일광고에 대한 반응율은 성별 및 연령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남자보다 여자의 반응율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는 10대 미만의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30대의 반응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군별로 SMS기반의 모바일광고에 대한 모바일 이용자들의 반응율을 살펴본 결과 총 9개 대분류 제품군들 중에서 문화/엔터테인먼트와 패션/의류/잡화 제품군의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신/전기/전자 제품군의 반응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영화공연, 벨소리, 그리고 뮤직앨범과 같은 모바일 이용자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문화/엔터테인먼트 제품군들에 대한 반응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배팅, 학교 및 교육기관, 그리고 정보통신서비스와 같은 제품들에 대한 반응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MS기반의 모바일광고는 영화 및 공연 등의 문화/엔터테인먼트 제품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통신/전자/전기 제품군과 같은 내구재 제품들에 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w 3D shape descriptor. The proposed descriptor measures geometric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shortest path on surfaces. The descriptor is robust against a change of local posture. We measure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3D object through a new shape function to construct the shape distribution. The proposed shape function is the shortest path shape function. The shape function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on the surface of a 3D object.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compared with the previous method. The precision of retrievals improved by 23% in the case of articulated objects and is improved by 12% in the case of general object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COMPUTING > SCHOOL OF MEDIA, CULTURE, AND DESIGN TECHN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