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테스크를 기반으로 한 뮤직비디오의 영상디자인 연구A Study on Music Video based on Grotesque
- Other Titles
- A Study on Music Video based on Grotesque
- Authors
- 고은영
- Issue Date
- Oct-2017
- Publisher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Keywords
- 그로테스크; 아담 존스; 뮤직비디오; Grotesque; Adam Jones; Musíc Video
- Citation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학술대회, pp 29 - 31
- Pages
- 3
- Indexed
- OTHER
- Journal Title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학술대회
- Start Page
- 29
- End Page
- 31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erica/handle/2021.sw.erica/8602
- Abstract
- 본 논문은 아담 존스(Adam Jones)의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특징들을 메리 루소(Mary J Russo)의 그로테스크(Uncanny Grotesque)이론과 결부시켜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메리 루소는 프로이드의 ‘언캐니’와 크리스테바의 ‘아브젝시옹’과 같은 현대 담론을 토대로 그로테스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그로테스크’는 미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로써 기존 사회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비주류의 감성으로 독특하게 표현된 것들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그로테스크의 이론을 검토한 후 아담 존스의 뮤직비디오의 시각적 특징들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아담 존스의 예술세계와 메리루소의 ‘언캐니 그로테스크(Uncanny Grotesque)’ 담론 사이의 관련성을 추적함으로써 작품의 불가해한 내용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는 ‘그로테스크’ 관련 문헌을 1차 연구 자료로 삼았다. 덧붙여 선행 연구와 그 외 출판물들, 비평적 자료 등을 보조 텍스트로 참고하였다. 나아가 이미지와 영상분석 시도를 통해 해석학적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작품 분석결과, 아담 존스의 뮤직비디오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와 시각적 표현이 ‘언캐니 그로테스크’의 개념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담 존스의 그로테스크는 그저 낯선 신체의 출현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무의식을 드러내며 두려움과 절망이 압도적인 무게를 가진 삶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해준다.
This research aim to draw the implications of visual features depicted in Adam Jones’s musíc videos and demonstrate that the 'grotesque’ is the gist of his work. In general, grotesqueness is identified with symbiosis of heterogeneous and contradictory features, deformation, demonic macabre, obscenity, and so on. However, this study reviews the grotesque, and theory that modem philosophers who give a new value on grotesque, and it would be meanigful to analyze the works of Adam Jones. If we consider the 'grotesque’ as a conflict between the real and the unreal in diverse levels, Adam Jones’s work offer to the gotesque feelings.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DESIGN > 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