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교사들이 인식한 EBS 시범학교 효과성 및 운영개선을 위한 연구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EBS Model Schools

Other Titles
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EBS Model Schools
Authors
박성희
Issue Date
Nov-2013
Publisher
한국교육방법학회
Keywords
EBS model school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management; EBS 시범학교; 효과성 인식; 운영개선
Citation
교육방법연구, v.25, no.4, pp.791 - 816
Journal Title
교육방법연구
Volume
25
Number
4
Start Page
791
End Page
8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5225
DOI
10.17927/tkjems.2013.25.4.791
ISSN
1598-5903
Abstract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창의적 체험활동과 진로 및 적성에 맞는 교육제공과 함께 디지털교과서 등장으로 교수-학습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교육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한편, 사교육비 경감과 교육격차 해소 및 공교육 정상화에 대한 기대들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EBS는 다양한 콘텐츠를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테크놀로지 환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콘텐츠 개발 및 관련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한 노력의 하나로 학교현장의 EBS 활용률 개선을 위해 2개년 계획으로 19개 EBS 시범학교를 지정 및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BS 시범학교 운영실태, 교사들이 인식한 EBS 시범학교의 효과성 및 운영개선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EBS 시범학교 운영 실무를 담당하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EBS 시범학교 운영실태는 학교급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교사들이 인식한 EBS 효과성이 학생과 교사차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력신장에 대한 변화에 대해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이 나타났으며, 이와 함께 교사간 협력 강화 및 전문성 신장 등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시범학교 운영개선을 위해서 시범학교, EBS, 시도교육청 등 관련된 3개 기관차원별로 상세한 개선 사항 요구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EBS 시범학교 운영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Sung Hee photo

Park, Sung He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ory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