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부지원 R&D사업의 효과성 분석을 위한 중소기업 TFP 측정TFP Measurement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ed R&D Projects for SMEs

Other Titles
TFP Measurement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pported R&D Projects for SMEs
Authors
한주동진영헌김홍범이상헌
Issue Date
May-2020
Publisher
기술경영경제학회
Citation
기술혁신연구, v.28, no.2, pp.63 - 100
Journal Title
기술혁신연구
Volume
28
Number
2
Start Page
63
End Page
10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84757
DOI
10.14386/SIME.2020.28.2.63
ISSN
1598-1347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총요소생산성(TFP)을 성과지표로 사용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지원 R&D사업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요소생산성을 산출하기 위한 분석 모형은 내생성 문제를 완화한 Levinsohn and Petrin (2003) 방법론이며 분석 자료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기업회계정보이다. 구체적으로 기업회계정보 자료에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내 정부지원 R&D사업의 수혜기업 정보를 연계한 후, 성향매칭과 이중차분법을 이용하여 그 성과를 측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크게 4 가지이다. 첫째 생산함수 추정결과,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 총요소생산성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둘째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총요소생산성 격차는 여전히 확대되고 있다(2011년도 3.72배에서 2018년 5.23배). 셋째 정부지원 R&D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은 미수혜 기업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지만, 지원 사업 전까지 전반적인 하락 추세에 있다가 지원 사업 후 상향 추세로 반전되었다. 넷째 지원 사업 후 1년차 수혜 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의 증가폭은 미수혜 기업군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성향매칭을 통해 설정한 대조군에 비해서는 작았다. 정부지원 R&D사업에 참여하기 전까지 수혜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이 하락 추세를 나타내는 실증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중소기업의 R&D지원에 대한 수요와 정부의 정책목적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소기업 정부지원 R&D사업이 단순 시혜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제도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ongbum photo

Kim, Hongbum
Business Administration (Divis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