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서울시 Personal Mobility 우선 공급 지역 분석 : First-Last Mile 통행특성을 중심으로Analysis of the Priority Supply Areas of Personal Mobility in Seoul, Korea : Focusing on the Travel Characteristics of First-and-Last Miles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Priority Supply Areas of Personal Mobility in Seoul, Korea : Focusing on the Travel Characteristics of First-and-Last Miles
Authors
한재원안수영김미성한동형이수기
Issue Date
Feb-2022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eywords
퍼스트 마일; 라스트 마일; 퍼스널 모빌리티; 마이크로 모빌리티; 통합 이동성 서비스; First Mile; Last Mile; Personal Mobility; Micro Mobility; Mobility as a Service (MaaS)
Citation
국토계획, v.57, no.1, pp.42 - 56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토계획
Volume
57
Number
1
Start Page
42
End Page
5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39555
DOI
10.17208/jkpa.2022.02.57.1.42
ISSN
1226-7147
Abstract
최근, 우리나라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큰 변화 중 하나는PM의 도입이다. 도로 곳곳에 자유롭게 주차되어 있는 전동킥보드는 2018년부터 국내에서 큰 이슈가 되었고, 급격한 사용률의증가 현상을 보였다. 신희철 외(2017)의 연구에 따르면 국내 PM 시장은 2016년 6만 대 수준에서 2022년에는 20만 대 규모로 대폭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PM 업계의 규모는 약 2조 원으로 추산되며, 2030년에는 시장규모가 약 26조 원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였다. PM과 유사한 개념으로 전동킥보드를 포함한 전기자전거와 초소형 전기자동차 등을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로 정의하고 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출퇴근 시간에 교통 체증이심한 도심 속에서 짧은 거리 이동에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있다. McKenzie(2020)에 따르면 공유 킥보드와 공유자전거와같은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의 도입은 많은 도시에서 도시 교통의 실질적인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교통에 대한 미래의 비전으로 “Integrated and seamless mobility(끊김이 없는 통합된 모빌리티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김수재 외(2018)의 연구에 의하면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는 개인교통수단과 대중교통수단 및 공유교통 서비스를 모두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이용자에게 모든 수단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연계수단 통행방안과 합리적인 요금을 제시하는것이 핵심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는“Mobility as a Service(이하 MaaS)”로 정의되고 있다. 김민정외(2019)의 연구에 따르면 최근 교통선진국을 중심으로 MaaS라는 공유교통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교통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PM은 자가용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서 무공해 연료인 전기동력을 사용하는 초소형·초경량의 교통수단이다(안다은, 2020). First-Mile Mobility(이하 FMM) 또는Last-Mile Mobility(이하 LMM) 이용 수단으로 PM은 출발지로부터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전과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한후 최종목적지까지 남은 단거리를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PM은 기존 자동차 중심의 운송 체계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PM은 기존 대중교통의 한계로 지적되어온FMM과 LMM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대중교통 이용 증진과 서비스 제공의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연구는 FMM과 LMM을 고려한 수요기반 PM 공급 우선지역을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PM과 대중교통을 연계한통합형 모빌리티 서비스인 MaaS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와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공과대학 > 서울 도시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ugie photo

Lee, Sugie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